유해영영문법1 173

제12강. 구와 절

제12강. 구와 절 구 : 2개 이상의 단어가 모여 하나의 품사와 같이 쓰여 지는 어군(한 덩어리 말). 이 어군은 “주어 +동사”와 같은 문장 형태를 갖추지 못한 것을 말 한다. 전 세계적으로 쓰여지는 영문학 참고서의 정의를 살펴보자. A phrase is a group of two or more related words that does not contain both a subject and a predicate. 직역을 하면, 구란 주어와 술어를 포함하지 않는 둘 혹은 그 이상의 관련 단어의 그룹이다. 절 : “주어 +동사”와 같이 문장 형태를 갖춘 어군이 한 문장 안에서 어떤 품사의 역할을 할 때 그와 같은 어군을 절이라고 한다. 전 세계적으로 쓰여지는 영문학 참고서의 정의를 살펴보자. A cla..

유해영영문법1 2011.12.23

제11강. 일반 동사

제11강. 일반 동사 - 동사는 그 모양이 항상 같은 것이 아니고 조건에 따라 변한다(어형 변화). - 어형은, 원형, 현재형, 과거형, 과거분사형, 현재분사형의 5 가지가 있다. - 일반 동사 원형 : 현재형과 같다(현재형이 3인칭 단수 현재를 나타낼 때의 변화형을 예외) 현재형 : 3인칭 단수 현재를 나타낼 경우, 어미에 -s 혹은 -es를 붙인다. 과거형 : 원형 어미에 -ed를 붙인다. 불규칙 변화형도 있다. 과거분사 : 원형 어미에 -ed를 붙인다. 불규칙 변화형도 있다. 현재분사형 : 원형 어미에 -ing를 붙인다. - 3인칭 단수 현재형 동사 만드는 법 (명사의 복수형 만드는 것과 같음, 제21강 참조) 1. 원형에 -s를 붙인다. reads, loves, gets, sings 등 2. o로..

유해영영문법1 2011.12.23

제10강. Be 동사

제10강. Be 동사 동사중에서 특별하게 구분되는 Be 동사라는 것이 있다. - 동사는 “일반 동사”, “Be 동사”로 구분된다. - 동사는 그 모양이 항상 같은 것이 아니고 조건에 따라 변한다(어형 변화). - 어형은, 원형, 현재형, 과거형, 과거분사형, 현재분사형의 5 가지가 있다. - Be 동사의 어형 변화는 다음과 같다. 원형 : be 현재형 : am, are, is 과거형 : was(am, is), were(are) 과거분사형 : been 현재분사형 : being (일반동사) 원형 : 현재형과 같다(현재형이 3인칭 단수 현재를 나타낼 때의 변화형을 예외) 현재형 : 3인칭 단수 현재를 나타낼 경우, 어미에 -s 혹은 -es를 붙인다. 과거형 : 원형 어미에 -ed를 붙인다. 불규칙 변화형도 있..

유해영영문법1 2011.12.22

제9강. 5형식 문장 / 영문장 5형식

제9강. 5형식 문장 / 영 문장 5형식 5형식 문장 = 주어 +불완전타동사 +목적어 +목적보어( S + V + O + OC ) 목적어의 상태나 동작을 설명하는 목적격 보어가 있는 문형을 5형식 문형이라 한다. 이 5형식 문장은 시험문제에 많이 출제되는 문형이다. 해석이 다소 까다로운 문형이기도 하다. 목적격 보어는 명사, 대명사, 형용사 그리고 여기에 속하는 상당어구가 될 수 있다. He named the baby Tom. 명사I believe the singer (to be) her. 대명사He will make his wife happy. 형용사We wanted him to sing a song. to 부정사I saw her swim in the pool. 원형 부정사I had him clean t..

유해영영문법1 2011.12.20

제8강. 4형식 문장 / 영문장 5형식

제8강. 4형식 문장 / 영 문장 5형식 4형식 문장 = 주어+완전타동사(수여동사)+간접목적어+직접목적어(S+V+IO+DO ) 2 개의 목적어가 있는 문장을 4형식 문장이라고 한다. “--에게” 라고 해석되는 목적어를 간접목적어(IO)라고 하며 먼저 위치하고, “--을(를)” 라고 해석되는 목적어를 직접목적어(DO)라고 한며 뒤에 위치한다. 간접목적어는 보통 사람, 직접목적어는 보통 사물이다. 4문형에서 완전타동사를 수여동사(授與動詞, Dative Verb) 혹은 여격동사(與格動詞)라고 한다. 여격이라는 말은 명사, 대명사가 간접목적어로 되어있을 때의 격을 말한다. 누구누구에게 라는 말이 여격목적어라 말하며, 뭐뭐를 이라고 해석되는 목적어를 대격목적어라 말한다. 목적어는 명사, 대명사, 명사 대명사 상당..

유해영영문법1 2011.12.20

제7강. 3형식 문장 / 영문장 5형식

제7강. 3형식 문장 / 영문 5형식 3형식 문장 = 주어 +완전타동사 + 목적어 ( S + V + O ) 동사의 대상이 되는 낱말, 즉 목적어가 필요한 문장의 형식을 말한다. 목적어는 명사, 대명사 그리고 그것의 상당어구가 될 수 있다. 여기서 주어와 목적어는 같지 않다. 주어와 보어가 같은 것에 비해서 말이다. 즉, S ≠ O 란 말이다. I met Judy yesterday. 목적어가 명사인 경우She took me to the house. 목적어가 대명사인 경우He want to go Korea. 목적어가 부정사인 경우She enjoyed walking along the street. 목적어가 동명사인 경우Tom knows what to do. 목적어가 의문사, 부정사인 경우, 즉 명사구I bel..

유해영영문법1 2011.12.20

제6강. 2형식 문장 / 영문장 5형식

제6강. 2형식 문장 / 영문 5형식 2형식 문장 = 주어 +불완전자동사 +보어 ( S +V +C) 보어는 명사, 대명사, 형용사, 그리고 여기에 속하는 상당어귀가 될 수 있다. 보어는 주어를 보충설명해 주는 말로 주어=보어의 등식이 성립된다. 사용되는 주요 동사 - be,look,seem,remain,keep,appear,lie,hold,continue 등 - become,come,get,grow,turn,prove,fall,go,make,feel,smell,sound,taste 등 다음은 2형식 문장들이다. 여러분들이 어떤 자료에서나 많이 볼수 있는 문장 형식이다. 또한 이 문형이 해석하는데 다소 혼란을 주는 문형이다.- This guitar is Dr. Ryu's. 유박사의 것이다.- She see..

유해영영문법1 2011.12.20

제5강. 1형식 문장 / 영문장 5형식

제5강. 1형식 문장 / 영문 5형식 영문을 5 가지 형식의 문장으로 나눌 수 있다. 여기에서 영문 대문자로 문장의 구성요소를 정리하자. 주어, 동사, 보어, 목적어, 간접목적어, 직접목적어 = S, V, C, O, IO, DO 1 형식 문장 = 주어+완전자동사 ( S +V ) 2 형식 문장 = 주어+불완전자동사+보어 ( S +V +C ) 3 형식 문장 = 주어+완전타동사+목적어 ( S +V +O ) 4 형식 문장 = 주어+완전타동사+간접목적어+직접목적어 (S +V +IO +DO ) 5 형식 문장 = 주어+불완전타동사+목적어+목적보어 ( S +V +O +C ) 4 형식 완전타동사를 수여동사 혹은 여격동사라고 한다. 1 형식 문장 = 주어+완전자동사 ( S +V ) 주어와 동사만으로 완전한 뜻을 나타내는 ..

유해영영문법1 2011.12.20

제4강. 자동사, 타동사, 완전 불완전 동사 / 유해영 영문법

제4강. 자동사, 타동사, 완전 불완전 동사 동사에는 일반 동사, be 동사, 조동사 등이 있으나, 여기서는 자동사, 타동사, 완전이니 불완전이니 하는 동사에 대하여 알아보자. 자동사, 타동사는 목적어를 필요로 하면 타동사, 목적어가 필요치 않으면 자동사라고 한다. 보통 “을(를)”로 해석되는 경우, 그 것을 목적어라고 한다. 그러나 대부분의 동사는 자타동사의 역할을 함께 하고 있어 문장에서 구별하면 된다. 보어의 유무에 따라 불완전이니, 완전이니 하는 표현을 쓰는 것이다. 미국 출판 영어사전의 설명을 보자. - An intransitive verb ia a verb that does not need a direct object to complete its meaning. 자동사는 목적어가 필요치 않은 ..

유해영영문법1 2011.12.19

제3강. 문장의 구성요소 / 유해영 영문법

제3강 문장의 구성요소 언어생활이라고 하는 것은, 문장으로 서로 의사를 주고받는 것을 말한다. 즉, 문장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사람은, 위에 머리가 있고, 그리고 머리와 몸통을 잇는 목이 있고, 그 밑으로 몸통이 있다. 그리고 팔다리가 붙어 있다. 문장이라는 놈은 도대체 어떻게 생겼을까? 사람의 머리에 해당하는 “주어”라는 놈이 제일 앞에 있고, 머리와 몸통을 잇는 목이 있듯이, 문장에는 “동사”라는 놈이 있어 몸통인 “보어”와 “목적어”를 머리인 주어와 연결시킨다. 그리고 팔다리가 있듯이 “수식어(형용사,부사)”라는 놈이 있다. 즉, 문장의 4구성요소인 주어, 동사, 보어, 목적어와 수식어가 있다. 즉, 5 구성요소가 있는 것이다. 뭐가 어려운가? 어렵지 않다. 1. 주어 : 문장의 맨 앞에 위치하..

유해영영문법1 2011.1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