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3 46

철원 청년의 현재 그리고 미래 비전 토론회 / 강원대DMZ접경지역연구소(철원연구회)

2025년 3월 28일 한탄리버스호텔 세미나실에서 '철원 청년의 현재 그리고 미래 비전 토론회'가 있었다.  김창환 강원대 교수(DMZ접경지역연구소장)  유해영 박사(철원연구회고문)본인은 다음과 네이버에 블로그 2개와 유튜브에 유해영tv를 운영하고 있다. 오늘 발표하신 분들의 사업 내용을 본인의 블로그나 유튜브에 소개드릴 수 있으니, 희망하시는 분은 본인에게 6하원칙에 의거 자료를 보내주면 홍보를 해 줄 수 있으리라 본다. '드르니 국수' 음식점에 대한 소개는 이미 했다. 그리고 현무암 만두를 2팩씩 3개를 택배 주문을 했다. 다음이나 네이버에 유해영 박사를 검색하면 접속된다. 010 9967 8367  최선강 강원대 교수(강원대KNU창업혁신원장) 김원희 코스모불루베리 대표 김한솔 전 축구선수 이주원 청..

철원이모저모 2025.03.31

진정난 몰랐네, 김희갑시곡, 임희숙노래

본 영상은 유튜브 유해영tv에서도 제공되고 있다.진정난 몰랐네, 김희갑시곡, 임희숙노래노래가 좋아 한번 불러 보았다. 본인은 F 단조로 부르는 것이 좋은 것 같다. 악기를 다루고 노래를 부를 수 있다는 것은 사실 큰 축복인 것이다. 악기의 반주에 노래를 부르면 심신의 건강에 큰 도움이 된다. 그런데 악기를 배우기가 쉽지 않으리라 본다. 그런분은 노래만 불러도 상당한 도움이 되니 노래를 불러 보세요.  https://youtu.be/go_TvC08TCU?si=OGtWHOnaI7hNHIkSF 단조  E 단조로 연습    F# 단조로 연습

노래 와 음악 2025.03.29

제4-10강. Be 동사

본 영상은 유튜브 유해영tv에서도 제공되고 있다. https://youtu.be/y8E2Catcrko?si=NSWB7OLx_lLM3CGY  제4-10강. Be 동사 * 동사 중에서 특별하게 구분되는 Be 동사라는 것이 있다.- 동사는 “일반 동사”, “Be 동사”로 구분된다.- 동사는 그 모양이 항상 같은 것이 아니고 조건에 따라 변한다 (어형 변화).- 어형은 원형, 현재형, 과거형, 과거분사형, 현재분사형의 5가지가 있다. 1. Be 동사의 어형 변화는 다음과 같다.- 원형: be- 현재형: am, are, is- 과거형: was(am, is), were(are)- 과거분사형: been- 현재분사형: being * 일반동사- 원형: 현재형과 같다(현재형이 3인칭 단수 현재를 나타낼 때의 변화형을 예 ..

유해영영문법4 2025.03.29

제4-9강. 5형식 문장 / 영문 5형식

본 영상은 유튜브 유해영tv에서도 제공되고 있다. https://youtu.be/V5RdgGLaunI?si=gK4xWtO0jvuFrIXT  제4-9강. 5형식 문장 / 영문 5형식 * 5형식 문장 = 주어 + 불완전타동사 + 목적어 + 목적보어 ( S+ V + O + OC ) * 목적어의 상태나 동작을 설명하는 목적격 보어가 있는 문형을 5형식 문형이라 한다. 이 5형식 문장은 시험문제에 많이 출제되는 문형이다. 해석이 다소 까다로운 문형이기도 하다.* 목적격 보어는 명사, 대명사, 형용사 그리고 여기에 속하는상당어구가 될 수 있다.- He named the baby Tom. 그는 아기의 이름을 톰이라고 지었습니다. 명사. - I believe the singer (to be) her. 나는 그 가수가 ..

유해영영문법4 2025.03.28

제4-8강. 4형식 문장 / 영문 5형식

본 영상은 유튜브 유해영tv에서도 제공되고 있다.https://youtu.be/REUDlkranaA?si=hMICb5ELapxHPtkk 제4-8강. 4형식 문장 / 영문 5형식 * 4형식 문장 = 주어 + 완전타동사(수여동사) + 간접목적어 + 직접목적어(S+V+IO+DO ) * 2개의 목적어가 있는 문장을 4형식 문장이라고 한다. “--에게”라고 해석되는 목적어를 간접목적어(IO)라고 하며 먼저 위치하고, “--을(를)”라고 해석되는 목적어를 직접목적어(DO)라고 한며 뒤에 위치한다. 간접목적어는 보통 사람, 직접목적어는 보통 사물이다. 4문형에서 간접목적어와 직접목적어 두 개를 갖는 완전타동사를 수여동사(授與動詞, Dative Verb) 혹은 여격동사(與格動詞)라고 한다.* 목적어는 명사, 대명사, ..

유해영영문법4 2025.03.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