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해영영문법1

제5강. 1형식 문장 / 영문장 5형식

유해영 2011. 12. 20. 19:21

 

제5강. 1형식 문장 / 영문 5형식

 

영문을 5 가지 형식의 문장으로 나눌 수 있다.

여기에서 영문 대문자로 문장의 구성요소를 정리하자.

주어, 동사, 보어, 목적어, 간접목적어, 직접목적어 = S, V, C, O, IO, DO

1 형식 문장 = 주어+완전자동사 ( S +V )

2 형식 문장 = 주어+불완전자동사+보어 ( S +V +C )

3 형식 문장 = 주어+완전타동사+목적어 ( S +V +O )

4 형식 문장 = 주어+완전타동사+간접목적어+직접목적어 (S +V +IO +DO )

5 형식 문장 = 주어+불완전타동사+목적어+목적보어 ( S +V +O +C )

 

4 형식 완전타동사를 수여동사 혹은 여격동사라고 한다.

 

1 형식 문장 = 주어+완전자동사 ( S +V )

주어와 동사만으로 완전한 뜻을 나타내는 문장을 말하나, 수식어구가 붙어 문장이 길어 질 수 있다. 아래 문장들이 1형식 문장들이다.

 

- Dr. Ryu and his wife go to Cheorwon Catholic Church every Sunday.   유해영 박사 부부는 일요일 마다 철원성당에 미사보러 간다. to 이하는 부사구- He works hard. He works. 그는 열심히 일한다. 그는 일한다.- She went there.- The girl dances well. The girl dances. - He came home. - The sun rises. The sun rises in the east. 해가 뜬다. 해가 동쪽에서 뜬다.- Birds sing. Birds sing merrily. 새가 지져 긴다. 새가 즐겁게 지져 긴다.- He went to the park. - The boys live in the country. - The earth moves round the sun. The earth moves.

  지구는 태양 주변을 돈다. 지구는 움직인다.

- There are some pens on the table.   여기서 pens가 주어이고 some은 pens를 수식하는 형용사다.    동사는  are, here 는 관용으로 문두에 위치하는 것으로 부사이다. - They go

to school by bus every day.

- God commanded " Let there be light " ―and light appeared.그리스도교 창세기에 나오는 말로, 하느님이 빛이 있으라 명하니, 빛이 나타났다. 여기서 appear 은 완전자동사이다.

적색 부분은 부사 혹은 부사구이다. 보어가 아님. 부사구는 추후에 설명하겠음

 

Gardening techniques 정원 가꾸는 기술 / 텃 밭 가꾸는 기술

There are many ways of planting. Plants with seeds like tomato, eggplant, pumpkin, hot pepper, etc are sown in seedbed before they are transplanted to the garden plot. Other plants like corn, beens, lettuce, etc are propergated by planting the seeds directly on the garden plot. Potato, sweet potato, some vegetables, some ornamental plants, ect use the plants' vegetable parts to developed new plants. 우선 해석을 해보자. 식물을 심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다. 토마토, 가지, 호박, 고추 등과 같이 씨가 있는 식물은 밭에 옮겨심기 전에 육모 모판에 심는다(어린 모를 기르기 위해서 심는다는 말). 옥수수, 콩, 상추 등은 밭에 바로 씨를 뿌린다. 고구마, 감자, 어떤 채소, 관상식물 등은 새로운 식물체를 심기위해 영양체를 사용한다. 텃 밭을 가꾸기 위해 알아야 할 것 들이다. 이 글에 4 가지 문장이 있다. 첫째는 1형식, 넷째는 3형식, 둘째 그리고 셋째는 1형식 문장이다. 3형식 문장이 수동태로 된 것이다. 약간 헷갈릴 것이다. 더 연구해 보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