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해영영문법1 173

제111강. 수동태 관련 주의사항 1

제111강. 수동태 관련 주의사항 1 ☆ 의문문의 수동태 1. 일반 의문문 - Do you like her? Is she liked by you? - Did you write the book? Was the book written by you? - Did the man play the guitar? Was the guitar played by the man? 2. 의문사 의문문 - Who wrote the book? 수동태로 바꾸면, By whom was the book written? 문두에 주격을쓰는 경향이므로, 이 경우 전치사는후치. 다음과 같이 바뀐다. Who was the book written by? ☆ 명령문의 수동태 1. 긍정명령, Let + 목적어 + be + 과거분사 Do your wo..

유해영영문법1 2012.03.31

제110강. 문장 형식에 따른 수동태 전환

제110강. 문장 형식에 따른 수동태 전환 ☆ 3형식 문장의 수동태 전환 1. 3형식 문장이 수동태가 되면 1형식 문장이 된다. - He wrote the book. The book was written by him. by him 은 부사구로서 수식어이다. 그 책은 그에 의해 쓰여졌다. - Lee Soon-Sin invented the Geobukseon. The Geobukseon was invented by Lee Soon-Sin. by Lee Soon-Sin 은 부사구. 거북선은 이순신에 의해 발명되었다. 2. "S + V+ O" 의 3형식 문장이 "S + V+ M" 의 1형식 문장이 된다. M은 수식어. ☆ 4형식 문장의 수동태 전환 1. 4형식 문장을 수동태로 만들면, 3형식 혹은 1형식이 된다..

유해영영문법1 2012.03.30

제109강. 수동태의 시제와 수동태가 사용되어 지는 경우

제109강. 수동태의 시제와 수동태가 사용되어 지는 경우 ☆ 수통태 문장을 만드는 법 1. 능동태의 기본문장: He loves her. - 능동태의 목적어를 주격으로 변환하여 주어로 삼는다. her → She - 능동태의 동사를 "be + 과거분사" 꼴로 바꾼다. 이때 be 는 주어로 삼은 능동태 목적어의 인칭이나 수에 맞게 써야 하며, 시제는 능동태 동사의 시제에 맞게 써야 한다. - 능동태의 주어는 " by + 목적격 " 꼴로 문장 끝에 둔다. 2. 위 기본 문장이, She is loved by him. 으로 바뀌어 진다. - 왜, She, her의 주격이니까. - 왜, is, loves 가 현재 시제 이니까. - 왜, him, He 의 목적격 이니까. - 왜, loved, love 의 과거분사형 이..

유해영영문법1 2012.03.30

제108강. 수동태 연구

제108강. 수동태 연구 여기까지 본인의 강의를 따라온 사람은 상당한 공부가 됬을 것이다. 이제부터 다소 차원을 달리하여 강의를 진행할까 한다. 이제부터는 영어를 연구해 보고자 한다. ☆ 개념 연구 1. 주어의 동작을 나타내는 동사의 양식을 태(態, 태도태)라고 하며, 주어가 동작을 하는 것을 능동태, 주어가 남의 동작을 받는 것을 수동태라 한다. 2. 문법상 타동사가 주어 및 목적어에 대한 관계를 나타내는 형태상의 변화를 태라고 하며, 주어가 어떤 동작을 하는 동사의 형태를 능동태, 동작을 받는 동사의 형태를 수동태라 한다. 3. 주어와 술어동사 사이의 능동, 수동 관계를 나타내는 형식을 태라고 한다. 4. 문장에서, 주어가 행위의 주체가 되는 것을 능동태라고 하며, 주어가 행위의 대상이 되는 것을 수..

유해영영문법1 2012.03.29

제107강. 분사구문의 특수용법

제107강. 분사구문의 특수용법 ☆ 독립분사구문(Absolute participial construction)과 무(비)인칭 독립분사구문(Impersonal absolute participle) 1. 독립분사구문 - 종속절과 주절의 주어가 다를 때, 분사구문에 주어를 써줘야 하는데, 이러한 분사구문을 말한다. - If it is fine, I shall start tomorrow. It being fine, I shall start tomorrow. 날씨가 좋으면 나는 내일 출발 하겠다. 주어 It가 그래로 따라왔음. 2. 무(비)인칭 독립분사구문 - 종속절과 주절의 주어가 서로 다르더라도, 분사구문에서 일반인을 나타내는 you, we, people 등은 관용적으로 생략하는데 이러한 분사구문을 비(무)인..

유해영영문법1 2012.03.28

제106강. 분사구문의 용법

제106강. 분사구문의 용법 분사구문은 문두(頭)에, 문중(中)에, 문미(尾)에 위치하여 때, 원인이나 이유, 조건, 양보, 부대상황 등을 나타낸다. 그러나 이중 어느 곳에도 속하지 않은 분명치 않은 경우도 있다고 한다. 1. 때, 시간 ( when, while, before, after, as soon as 뭐뭐할때, 하기전에 등 )을 표현. - When I studied English, I heard her speak. Studying English, I heard her speak. 내가 영어공부를 했을때, 그녀가 말 하는 것을 들었다. - When I studied English, he visited me. I studying English, he visited me. 내가 영어공부 했을때 그가 ..

유해영영문법1 2012.03.27

제105강. 분사구문의 작성법, 시제, 부정문 만들기, 유리분사, 현수분사구문

제105강. 분사구문의 작성법. 시제, 부정문 만들기, 유리분사, 현수분사구문 ☆ 분사구문 만드는 법 1. 부사절(종속절)의 주어가 주절(본문)의 주어와 같은 경우 When she saw me, she said "Hello". 밑 줄친 부분에서 saw의 원형 see의 현재분사형 seeing를 앞에 놓면 된다. Seeing me, she said "Hello". 그녀가 나를 보았을 때 안녕이라고 말했다. 나를 본 그녀가 안녕이라고 말했다. 따라서 분사구문의 의미상의 주어는 주절의 주어와 같다. 해석은 약간 차이가 있을 수 있다. 2. 부사절의 주어가 주절의 주어와 다른 경우/독립 분사구문 As it was fine, I took a walk at the park. 밑 줄친 부분에서 was의 원형의 분사형 ..

유해영영문법1 2012.03.27

제104강. 분사구문의 개요

제104강. 분사구문의 개요 ☆ 분사구문의 개념 및 특징 1. 분사구문은 복문의 종속절 중에서 접속사, 주어, 동사 이 세가지를 그 동사의 분사형으로 대체하여 그 종속절을 축약한 구문을 말한다. 구문인데도 의미상의 주어를 가지고 있고, 그 종속절과 의미가 같은 구문이다. 2. 분사구문은 문어적 표현이다. 문장을 멋있게 꾸며보고 싶은 문필가들의 욕구를 충족시켜 줄만한 화려한 문장 묘사법인 것 같다. 접속사와 주어가 생략되어 있어 그 의미가 불 분명할 수 있다. 영미 학생들도 분사를 다소 어려워 한다고 한다. 전형적 문장형태에서 약간 일탈된 살아있는 듯한 문장의 느낌을 준다. 이 항에서 서술된 어떤 내용은 본인의 생각으로 사실과 약간 다를 수 있다. 3. 완료형분사는 주 동사보다 앞선 동작을 나타낸다. 그러..

유해영영문법1 2012.03.26

제103강. 분사의 형태, 용법, 전용

제103강. 분사의 형태, 용법, 전용 분사의 형태 1. 현재분사 - 타동사, making 능동, being made 수동 - 자동사, going 2. 과거분사 - 타동사, written 수동 - 자동사, come 능동 3. 완료분사 - 타동사, having broken 능동, having been broken 수동 - 자동사, having come 4. 완료진행분사 - 타동사, having been writting 능동 - 자동사, having been coming 능동 분사의 용법 ☆ 정동사(finite verb)로서의 용법 1. be + doing, 진행형을 만든다. - I am going to school. 학교에 가고있다. 2. be + 자동사의 과거분사, 완료형. - Spring was com..

유해영영문법1 2012.03.25

제102강. 분사의 개요

제102강. 분사의 개요 개념설명: 동사는 구문상, 두 가지로 구분된다. 하나는 한정동사, 정형동사, 정동사( finite verb ) 로 불려지는 동사와, 다른 하나는 비한정동사, 비정형동사, 부정형동사, 준동사, 준동사형( non-finite verb, infinite verb, verbal, verbid,) 등으로 불려지는 동사가 있다. 전자는 서술동사(predicate verb) 이고, 후자는 부정사(infinitive), 동명사(gerund), 분사(participle)를 말한다. 정형동사는 위치가 주어 다음 자리에 오며, 주어의 인칭, 수에 따라 제한을 받고, 시제, 법, 태의 활용변화를 하지만, 비정형동사는 인칭, 수, 법에 따르는 형태변화가 없고 동사적 성격외 형용사, 명사, 부사적 기능을..

유해영영문법1 2012.03.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