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 게재문 140

바닷물 오염과 해류(海流)에 대한 이해 / 일본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 강원북부신문23.7.13

다시 한번 요약 강조하면, 일본 오염수 방류로 인한 우리나라 해역의 오염은 걱정할 것이 없고, 일본 동해산 수산물은 오염될 가능성이 있으니 수입을 철저히 제한하여야 한다. 일본 어민들에게는 피해가 직접 영향을 주어 반대하는것이나, 우리나라와는 거의 상관이 없어 반대하거나 우리나라 수산물을 기피할 필요는 거의 없다. 일부에서 다른 목적으로 선동하는 것이니, 바로 알면 걱정할 필요가없다. 참, 사람들 말도 않되는 선동으로 불안을 조성한다. 국민이 공부하고 깨여나야 나라가 바로 세워진다. 바닷물 오염과 해류(海流)에 대한 이해 / 일본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 강원북부신문23.7.13 유해영 박사 바닷물이 일정하게 움직이는 경우가 있는데 이에는 해류(海流)와 조류(潮流)가 있다. 해류는 일정한 방향과 속도로 ..

신문 게재문 2023.07.18

안전한 우리나라 스타일리쉬한 한국인 / 강원북부신문 23.7.6

안전한 우리나라, 스타일리쉬한 한국인 우리나라에서는 밤에 도시 길거리를 걸어 볼일을 보는 것이 보통 위험하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여성들도 밤에 전깃불이 환한 거리를 걸어도 별 문제가 되지 않는다. 그런데 대부분의 선진국이라고 하는 유럽이나 미국에서 조차도 밤에 도시 거리를 걷는 것은 위험하다고 한다. 특히 여성들은 밤에는 위험해서 거의 활동을 하지 않는 다고 한다. 아프리카와 같은 개발도상국에서는 낮에도 차량으로 이동하고 보통 거리를 걸어 다니지 않는다. 위험하기 때문이다. 우리나라가 밤에 여성들이 걸어 다닐 수 있는 거의 유일한 나라라고 한다. 우리가 생각하기에는 이 당연한 일이 왜 우리나라에서만 가능할까? 대부분의 외국인들은 한국인들이 스타일리쉬(stylish) 하다고 한다. 스타일리쉬 라는 말은 옷..

신문 게재문 2023.07.06

우리나라 근대화에 대한 이해 / 강원북부신문 2023.3.16

역사적 사실을 바로 아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많은 사람들이 이 글을 보기를 희망한다. 「노예에서 자유인으로의 신분 변화」가 바로 역사적으로 근대화라고 말할 수 있다. 따라서 근대화(Modernization)/근대성(Modernity)에 대해 이해를 하는 것이 중요하다. 근대화가 됨으로 개인이 자유와 평등을 가지게 되었다는 말이다. 우리나라 근대화에 대한 이해 유해영 박사 세계 역사를 살펴보면, 유럽 역사를 기준으로 역사 발전을 5단계로 구분 설명한다. 원시, 고대, 중세, 근대, 현대사회가 그것이다. 우리나라는 중세 사회가 없었으므로 원시, 고대, 근대, 및 현대사회로 나눌 수 있으리라 본다. 그러나 우리나라 고려 시대를 중세 사회로, 조선시대를 근세사회로 분류하기도 한다. 본인의 관심은 우리나라 근대..

신문 게재문 2023.03.21

부모님께 쉽게 효도하세요. 강원북부신문, 2023.2.16

아래 글을 읽어 보고 실천하면 매우 도움이 되리라 본다. 이렇게 간단한 방법을 실천하면 아주 큰 효과가 있다. 부모님께 쉽게 효도 하세요. 유해영 박사 부모님께 효도 한다고 하면 왠지 부담이 되는 느낌이 들 것이다. 먹고 살아 가기가 만만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런데 아주 쉽게 부모님께 효도하는 방법 두 가지를 말해 보겠다. 하나는 강철산악회 활동에 참여시키는 것과 또 하나는 헬쓰장에 보내드리는 일이다. 위대한 사상가 중 한분인 쇼펜하우어는 권태감의 위험성에 대하여 경고한다. 인생을 잘 사는 데는 권태감을 극복하는 것이 중요한데, 권태감을 극복하는 데는, 새로운 경험, 소속감, 여러 사람들과의 접촉 등이 큰 역할을 한다. 이러한 문제를 단번에 해결해 주는 것이 바로 강철산악회가 한 달에 한 번씩 진행하는 ..

신문 게재문 2023.02.20

유대관계와 정체성 문제, 강원북부신문 23.1.12

이 유대관계와 정체성 문제가 가벼운 문제가 아니니 잘 읽고 공부하고 실천하면 행복한 인생을 사는데 크게 도움이 되리라 본다. 유대관계와 정체성 문제 유해영 박사 우리 사회가 물질적 풍요는 누리고 있는 것 같다. 최소한 굶주림에서는 벗어나 있다. 그러나 많은 사람들이 여러 가지 이유로 불행한 선택을 하는 사람들이 많다고 한다. 그것도 세계에서 압도적으로 많은 나라라고 한다. 우리의 내면을 살펴볼 필요가 있어 보인다. 공동체 구성원 사이에 유대감이 상실되고 정체성에 혼란이 있으면 크게 어려움을 겪게 된다. 특히 가족 간의 유대감이 우선 중요해 보인다. 끈끈한 유대감으로 뭉쳐 있으면 대부분의 어려움을 극복해 나가리라 본다. 유대(紐帶)라는 것은 띠와 끈이라는 말로 유대관계란 어떤 공동체 구성원 사이의 인연을 ..

신문 게재문 2023.01.12

매너리즘과 권태감 극복 문제 / 강원북부신문 22.6.23

이 기고문의 주제는 사실 매우 중요하다. 이글을 읽어 본 것만으로도 어쩌면 큰 행운일 수 있다. 그러나 더 공부해서 나름 더 큰 깨닮음을 얻으시기 기원드린다. 매너리즘과 권태감 극복 문제 유해영 박사 위대한 사상가 중 한분인 쇼펜하우어는 권태감의 위험성에 대하여 경고한다(왜 살아야 하는가/미하엘 하우스켈러 지음). 인간은 끊임없이 욕망을 채우기 위해 고통을 받고 욕망을 달성하면 권태감으로 고통을 받는데, 권태감으로부터 오는 고통은 욕망을 채우기 위한 고통보다도 훨씬 더 끔직하고 쉽게 인간을 절망에 이르게 하며 심지어 목숨을 끊도록 만든다고 한다. 많은 불행이 이런 매너리즘과 권태감에서 생기는데, 이를 극복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생각해 보자. 똑같은 일을 매일매일 반복하다 보면 흥미가 떨어지고 그 일에 ..

신문 게재문 2022.06.24

철원 농업 발전을 위한 제안 / 강원북부신문

철원 농업 발전을 위한 제안 유해영 박사 철원은 특별한 자연 환경을 가지고 있는 고장이다. 농업 환경 그리고 관광 환경 모두 좋은 조건을 가지고 있다. 최근 선보인 한탄강 은하수교, 물윗길, 주상절리길 등은 상당히 좋아 보인다. 이런 정도면 세계적으로도 손색이 없어 보인다. 농업 환경도 아주 특이하게 좋다. 이와 관련하여 본인이 여러 차례 여러 경로를 통하여 언급한바 있다. 2012년 9월 4일 실시한 철원오대쌀 심포지엄에서 본인이 기조 발표한 자료에 종합 설명되어 있으니 참고하면 도움이 될 것이다. 그런데 여전히 이런 내용을 정확하게 아는 분들이 많지 않은 것 같다. 철원의 농업환경을 간단히 다시 소개하면, ① 우리나라에서 농사철에 가장 긴 일장을 가진 지역, ② 우리나라에서 가장 일교차가 큰 지역 ③..

신문 게재문 2022.01.24

덩굴장미 나무의 위험성 / 강원북부신문 2021.7.15

본인이 2013년에 써서 올린, '유교의 인간 구원론, 답성호원'을 한번 읽어 보기를 권 한다. 읽은 책 소개에 있다. 날씨가 더워 집에서 에어콘을 켜 놓고 공부해 보는 것도 좋으리라 본다. 이 글은 지난달 6월 25일에 본인의 블로그 '성숙한 삶'에 올린 글이다. 이 글을 보고 그랬는지는 잘 모르겠으나, 복개천에 나무 가지가 인도로 뻗어 나와 상당히 불편한 곳이 있었는데, 거의 다 해결 되었다. 아마 당사자 분들도 충분히 만족하리라 본다. 사실은 너무나 당연한 것인데, 바쁜 생활을 하다보니 미처 알아차리지 못할 수 있다고 본다. 아직도 곳곳에 문제가 되는 곳이 한두군데가 아니다. 덩굴장미나 복분자 나무는 성장이 빨라 한번 가지를 잘라 주어도 바로 자라서 또 불편을 준다. 따라서 아예 없애는 것이 좋다...

신문 게재문 2021.07.19

우주작물, 달이나 화성에서 작물 재배 / 강원북부신문 2021.7.1

강원북부신문 2021.7.1 우주작물, 달이나 화성에서 작물 재배 유해영 박사 지구에 어떤 문제가 생겼을 때, 다른 별에 인간이 이주해 사는 경우를 생각해 볼 수 있다. 우리의 지구가 속해 있는 태양계 밖의 우주는 워낙 광대해서 사람의 사고로서 헤아리기가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본다. 지구가 속해있는 우리은하에는 4,000억 개의 별이 있고, 현재 관측 가능한 우주는 우리은하 같은 은하가 2조개 있다고 한다. 태양계에는 8개의 행성이 있는데, 암석으로 이루어진 지구형 행성이 4개로 수성, 금성, 지구, 화성이 있고, 기체로 이루어진 목성형 행성이 4개로 목성, 토성, 천왕성, 해왕성이 있다. 이 8개의 행성 중에, 화성과 지구의 위성인 달이 인간이 이주해서 살 가능성이 있는 별로 보인다. 지구에서 달까지의 ..

신문 게재문 2021.07.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