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12.5일 케이비에스 6시 내고향 프로에 식용꽃 관련 내용이 방영되었다.
충남 공주시 사곡면 화월리 안승환씨의 식용꽃 농장에 대한 방송이었다.
본인집 화단에도 매년 자생하는 한련화가 식용가능 하다는 말은 들었으나 확실치 않아 적극적으로 먹지 않았는데 내년 부터는 이용할려고 한다. 한련화는 꽃, 잎,줄기 모두 임금님이 물김치를 해먹었다는 등 이용이가능 하다고 한다. 한련화꽃을 먹어보면 겨자 냄새가 나서 몸에 유익 할 것이라는 생각을 했었다. 서양에서는 승전화라고 한다고 하며, 씨는 갈아 이용하면 후추와 비슷하다고 한다. 스스로 매우, 매년 잘 자란다.
금잔화는 카렌듈라 Calendula 또는 메리골드 Marigold라 한다고 한다.
금잔화가 식용꽃으로 매우 유명하다고 한다. 앞으로 이용해 보려한다.
본인 방 앞 화단에 잘 피어있는, 2011년 여름, 한련화, 기르기 쉽고 내버려 둬도 잘 자리는 그리고 매년 스스로 싹이나는 한련, 적극적으로 이용해 볼려고 한다. 식물체가 아주 부드러운 편이다.
이 사진은 아마 2010년도 사진인 것 같다. 아주 부드러운 느낌을 주는 식물이다.
아래 내용은 인터넸에서 가져온 내용이다.
먹는 꽃
우리나라는 예로부터 꽃을 이용하여 화전, 차, 떡, 술 등 다양한 음식을 먹는 풍습을 가지고 있었으나, 최근 참살이(웰빙)에 대한 국민 관심이 높아지면서 비빔밥, 쌈밥, 샐러드, 샌드위치, 튀김 등 다양한 형태의 요리가 개발되고 있다.식품의약품안전청(청장 노연홍)은 최근 다양한 꽃 요리가 개발됨에 따라 식용 꽃을 안전하고 맛있게 섭취할 수 있도록 '식용 꽃의 종류와 올바른 섭취방법'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꽃은 먹는 것보다 눈으로 보는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동·서양에서 음식으로서의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음력 3월3일(삼짇날): ‘꽃달임(화전놀이)’이라 하여 진달래 화전을, 음력 9월9일(중양절)에는 국화전이나 국화차를 먹어 왔음.꽃요리는 꽃에 함유된 비타민, 아미노산, 미네랄 등 다양한 영양소 섭취와 함께 꽃잎의 화려한 색과 고유의 은은한 향기로 먹는 이의 식욕을 자극하여 입맛을 돋우는데 효과가 있다.일반적으로 식용 가능한 꽃의 종류로는,우리나라가 원산지인 진달래꽃, 국화, 아카시아꽃, 동백꽃, 호박꽃, 매화, 복숭아꽃, 살구꽃 등과 서양이 원산지인 베고니아, 팬지, 장미, 제라늄, 쟈스민, 금어초, 한련화 등 수십 여종에 이른다.전통적인 꽃 요리로 진달래는 화전에 사용되고, 국화, 아카시아꽃은 꽃잎차로, 호박꽃, 매화 등은 떡에 많이 사용되었으며, 최근에는 비빔밥, 쌈밥, 샐러드, 튀김 등 다양한 형태의 요리가 개발·이용되고 있으며, 케이크 등의 화려한 꽃장식에도 사용된다.그러나, 식용 꽃이라 하더라도 꽃가루 등에 의한 알레르기를 일으킬 수 있으므로 암술, 수술, 꽃받침은 제거하고 사용하여야 하며, 특히 진달래는 수술에 약한 독성이 있으므로 반드시 꽃술을 제거하고 꽃잎만 물에 씻은 후 섭취하여야 한다.진달래와 철쭉을 혼동하는 사람들이 종종 있는데, 철쭉꽃에는 그레이아노톡신이라는 독성 물질이 있으므로 절대 먹으면 안 되며,그밖에도 은방울꽃, 디기탈리스, 동의나물꽃, 애기똥풀꽃, 삿갓나물꽃 등에도 독성이 있어 식용으로 사용할 수 없다.일반적으로 장식용 꽃은 농약 등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식용을 목적으로 따로 재배되는 꽃만 섭취할 수 있다.꽃잎은 따서 바로 요리하는 것이 좋으나, 보관을 해야 할 경우에는 마르지 않도록 밀폐된 용기에 담아 냉장고에 보관해야 고유의 색과 향을 오래 보존할 수 있다.꽃잎차 등과 같이 장기간 보관을 위해 건조할 경우, 본연의 색을 최대한 살리려면 꽃잎을 연한 소금물(1%)로 살짝 씻어 한지 위에 펼쳐 놓고 서늘한 그늘에서 바짝 말려야 한다. 강한 향과 신맛을 내는 국화나 민들레 등은 살짝 쪄서 연한 설탕물을 뿌려가며 말려야 맛이 부드러워진다
'건강한 식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밀, 우리밀 국수, 우리밀 밀기루, 한국우리밀농업협동조합 / 절대추천 (0) | 2013.10.31 |
---|---|
군고구마 해먹기 / 대 자유인 되기 (0) | 2013.02.24 |
왜, 쌀밥을 위대한 음식이라 할 수 있을까? / 식재료의 단백질 함량 (0) | 2013.02.22 |
현미밥 해 먹기 / 현미, 5분도미, 7분도미, 백미 / 문화통상 압력밥솥 (0) | 2012.03.03 |
토마토 요리/스파게티 해먹기 (0) | 2011.08.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