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해영영문법2' 강의는 '유해영영문법1' 강의와 기본적으로 같은 내용이나 본인의 저술 작업이 마무리 되고 시간이 허락되어 내용을 보완해서 다시 올리고 있다. 따라서 '유해영영문법2'로 우선 공부하고 아직 보완되지 않은 것은 '유해영영문법1'로 공부 하면된다. 어떤 질문도 모두 환영한다.
제52강. 반복 공부 방법
어느 분야든 반복을 하면 상당한 효과가 있다. 그런데 반복하기가 어렵다. 영문법 책을 한번 볼래도 3개월 이상 걸린다. 그런데 책을 본인 목소리로 녹음시킨 후 들으면서 책을 보면, 반복하기가 아주 쉬워진다. 아래 글을 잘 읽어 보기 바란다. 본인의 경험으로 100여 번 반복하면 거의 그 분야를 외워지다 시피 된다. 녹음기를 이용할 때 만 많은 반복이 가능하리라. 이 요령을 이해하고 실천하면 못할 것이 없으리라.
아래 사진은 소형 녹음기다. 한 달여 전에 본인 자식이 본인에게 선물한 것이다. 이만큼 작은 것이 거의 무한정 녹음이 되고 녹음되어 나오는 소리도 좋다. 카세트 테잎으로 공부하던 본인으로서는 거의 기적과 같은 느낌이 든다.
1. 천여 영문 문장 녹음하는데 약 한 시간 걸린다. 하루에 1,000 여 문장을 수회 반복 공부할 수 있다는 얘기다.
2. 성문핵심영어 참고서 본문을 녹음해 보면, 한 시간이 채 안 된다. 35여 년 전 본인이 그렇게 녹음해 공부했다.
3. 국사 주요내용을 녹음하면 한 시간에 거의 다 녹음이 된다. 40여 년 전에 본인이 그렇게 공부했다.
4. 500여 페이지 원서는 23시간 정도면 녹음이 된다. 2-3일이면 원서 한권을 반복해서 읽을 수 있다는 얘기다. 본인이 유학시절 박사 공부 할 때 그렇게 공부했다.
반복공부는 상승작용 효과가 있기 때문에, 여러분이 상상하기 어려운 효과가 생기는 것이다. 신문지(두께가 0.1mm)를 50번 접으면 그 두께가 지구의 둘래(약 4만 km)를 2800번 이상 도는 두께가 된다. 그 공식이 ( 0.1 × 2⁵⁰ ) 즉 ( 0.1 곱하기 2의 50승 )이다. ( 0.1 × 2⁵⁰ ) =112,589,990km÷40,000km=지구 둘레의 2,815배. 달까지의 거리(380,000km)의 296배. 태양까지의 거리(150,000,000km)의 75%. 그 얇은 신문지를 50번 접으면 그렇게 어마어마한 두께가 되는데 여러분은 이것이 이해가 가는가? 그러나 그것은 엄연한 사실이다. 이것을 수학에서는 기하급수라고 하는 것이고, 다단계인가 뭔 가하는 것에 사람들이 속아서 큰 손해를 보는 것은 상식적으로는 이해하기 어려운 기적과 같은 일이 계산적으로는 가능하기 때문이다. 이렇게 반복으로부터 오는 효과는 상식으로는 상상하기 어려운 만큼 엄청난 것일 수 있다.
종교에서 기적이라고 하는 것도, 그런 측면에서 보면, 가능한 것일 수 있는 것이다. 어떤 심리적인 강한 충격이 몸속의 여러 기관에 영향을 주면, 수없이 많은 여러 미세 기관에서 생체조절물질이 분비해서 서로 상호 작용을 할 때, 눈먼 소경도 고칠 수 있고, 아마도 거의 죽어, 보통사람들은 죽었다고 하는 그런 사람도 살릴 수 있을 것 같다. 본인과 같은 과학을 하는 사람이 면밀히 검토해 보아도 전혀 불가능한 일은 아니라고 생각이 든다. 이렇게 반복과 상호작용의 결과는 상상을 훨씬 넘어설 수 있다.
위에 제시한 그리고 본인이 실천해본 방법으로 반복 공부해서 안 되는 공부가 있을까? 단순하게 생각해 봐라. 모르던 원리도 반복 공부하다 보면 그 원리가 알아지는 법이다. 한 손에 있는 손가락이 5개 인줄 알면, 이미 그는 진리가 무엇인가 아는 사람이라는 말이 있다. 바로 생불로 추앙 받았고 여러 외국의 제자들을 길러내신 숭산 스님께서 하신 말씀이다. 세상이 기본적으로 복잡한 것이 아니다. 단순하게 목표를 세우고 실천해 봐라. 바로 그것을 할 수 있으면, 사실 거의를 다 할 수 있는 것이다.
'유해영영문법2'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54강. 부사 (0) | 2022.09.27 |
---|---|
제53강. such, as의 품사문제 / 제34강 질문에 대한 답변 (0) | 2022.09.27 |
제51강. 관계형용사, 관계대명사와 전치사, 관계대명사 생략 (0) | 2022.08.20 |
제50강. 복합관계대명사 (Compound Relative Pronouns) (0) | 2022.08.20 |
제49강. 의사관계대명사 (0) | 2022.08.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