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3강. 명사의 성(Gender)
자연계의 성(sex)에 대하여 영문법상의 성(Gender)을 말하는데, 남성, 여성, 통성, 중성 4 가지
성에 대한 설명이다. 스스로 해석해 보자.
- A set of two or more categories, as masculine, feminine, and neuter, into which words are divided according to sex.
- the fact of being male or female.
✲ 명사 4 가지 성
1. 남성(Masculine Gender) :
son, man, father, husband, boy 등, 대명사 he로 받는다.
2. 여성(Feminine Gender) :
daughter, woman, mother, wife, girl 등, 대명사 she로 받는다.
3. 통성(Common Gender) :
parent, friend, baby, child, servant 등, 대명사 he 혹은 she 불확실할 때나
동물은 it 로 받는다.
4. 중성(Neuter Gender) :
plant, flower, table, pencil 등, 대명사 it 로 받는다. 무생물, 식물, 추상적
개념 등, 성별 구별 없는 것. 의인법을 써서 성을 부여.
✲ 성을 나타내는 말들
1. 양 성을 나타내는 별도의 단어
- 남성 : son, man, father, boy, uncle, king, bull, nephew, drake 등
- 여성 : daughter, woman, mother, gild, aunt, queen, cow, niece, duck 등
2. 성을 나타내는 낱말을 붙이는 것
- 전치하는 경우 : boy-friend, girl-friend / he-goat, she-goat / he-cat, she-cat
- 후치하는 경우 : peacock,peahen / washerman,washerwoman / orphan boy, orphan girl
3. 여성을 나타내는 어미 ess
- actor/actress, god/goddess, poet/poetess, prince/princess, heir/heiress
Jew/Jewess, steward/stewardess,
4. 무생물 명사의 의인화
- 남성취급명사, 남성은 거대, 강력, 공포, 남성적인 것 등
(여성취급명사, 여성은 부드럽고 평화,희망, 우아, 풍요 등)
sun ( moon ), summer ( spring ), war (peace ), day ( night ), law(wisdom)
5. 나라 이름의 경우 : 국민/국가는 여성, 국토는 중성
- Swiss is very famous for its mountainous scenery.
스위스는 그 산이 많은 경관으로 유명하다.
6. 선박, 비행기, 기차는 애정의 표시로 여성 취급
- The ship started for sightseeing with her passengers.
그 배는 승객과 함께 관광을 위해 출발했다.
성서에서 관련 예문을 찾아보자.
When Judah saw her, he thought that she was a prostitute, because she had her face covered. He went over to her at the side of the road and said, "All right how much do you charge?" She said, "What will you give me?" He answered, "I will send you a young goat from my flock." 무엇이 재미있는지 살펴보자, 이 이야기는 기원전 20세기 경의 코카시안 유목민들의 이야기다. 해석을 해보자. 유다가 그녀를 보았을때, 그는 그녀가 창녀인 줄로 생각했다. 왜냐하면, 그녀가 얼굴을 가리고 있었기 때문이다( 아마 그 당시 창녀들은 얼굴을 가렸던 모양이다). 그는 그 도로 가에 그녀 곁으로 가까이 다가가서, "좋아요, 얼마를 받아요?" 라고 물었다. 그녀는 얼마를 줄거예요? 라고 말했다. 그는 어린 염소 한 마리를 보내 주겠다 라고 대답했다. 우선 밑줄친 것이 성과 관련된 단어들이다. 앞의 명사를 대명사로서 어떻게 받느냐가 성을 표현하는 것인데, 이 예문에서는 그러한 경우가 없다. 음담패설을 하자는 얘기가 아니다. 고대 코카시안(서양) 유목민들의 생활상을 엿보자는 얘기다. 우선, 지금부터 4000년전 경에도 몸을 파는 여인이 있었다는 사실이다. 화대로 어린 염소새끼 한마리를 주고 받는다는 얘기다. 당시는 유목사회니까, 아마도 지금 생각하면, 쌀 한가마, 80kg 정도 따져서 십 오만원 정도 생각해보자. 얘기를 더 읽어보면, 친구를 시켜 화대를 갚게 했으나 찾지 못했다. 또한 물건을 잡히고 외상으로 성관계를 가졌다. 이런 정황으로 보아, 별로 큰 비밀로 생각하지 않은 듯하다. 또한 이러한 자기 조상의 얘기를 공공연하게 기록으로 남기는 것을 보아 흔히 있는 일로 생각된다. 인간 사회의 모습이 고대나 현대나 그리 차이가 없는 듯하다. 이와 같이 창세기는 고대인들의 생활 상을 엿 볼수 있는 좋은 자료다.
공부하는 요령 한가지
위와 같이 명사의 성을 정리하나까 얼마나 명쾌한가? 그러나 실제로 구체적인 내용은 그렇게 간단하지 만은 않다. 예외가 있다는 말이다. 그러나 한꺼번에 모든 것을 다 할려고 하면 머리가 아프고 힘이들어 결국 못하게 되니, 우선 단순하게
학습해 놓고, 그때 그때 해결해 나가면 되는 것이다. 단어공부도 대표되는 의미를
파악, 기억해 두면 되는 것. 그리고 경우 마다의 지식을 넓혀 나가면 되는 것.
다시 말 하지만, 공부뿐만이 아니고, 모든 것은 쉬운 것 부터 단계적으로 확대해 나가는 것. 욕심부터 부려, 단숨에 조급하면 만사가 어려운법. 모든 것은 꾸준히,
하나 하나 쌓아 나가는 것 자체가 즐거운 법.
.
'유해영영문법1'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25강. 정관사 / 관사 (0) | 2011.12.31 |
---|---|
제24강. 부정관사 / 관사 (0) | 2011.12.30 |
제22강. 명사의 격(Case) (0) | 2011.12.29 |
제21강. 명사의 수(Number) / 명사의 복수형 (0) | 2011.12.28 |
제20강. 추상명사 / 명사의 종류 (0) | 2011.12.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