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9강. 물질명사(Material Noun) / 명사의 종류
✲ 물질명사란, 일정한 크기와 형태가 없는 물체의 재료가 되는 물질의 이름을
나타내는 명사
- 항상 단수 취급을 하나, a(an)을 붙이지 않는다.
- 따라서 복수도 되지 않는다. some, any, little, much, the 등을 쓸 수 있다.
- 셀 때는 a cup of , a piece of 등을 쓴다.
- 부정관사를 붙이거나, 복수형을 써서 보통명사화 하여 제품이나, 종류,
개체를 표시할 수 있다.
물질명사의 예를 들어보자. 성서에 나오는 얘기다.
Two days later there was a wedding in the town of Cana in Galilee. Jesus' mother was there, and Jesus and his disciples had also been invited to the wedding. When the wine had given out, Jesus' mother said to him, " they are out of wine." " You must not tell me what to do." Jesus replied. " My time has not yet come." Jesus' mother then told the servants, " Do whatever he tells you." The Jews have rules about ritual washing, and for this purpose six stone water jars were there, each one large enough to hold between twenty and thirty gallons. Jesus said to the servants, " Fill these jars with water. ..... They took him the water, which now had turned into wine. 밑 줄친 것이 물질명사다. 해석을 해보자. 이틀후, 갈리리, 카나 마을에 혼인이 있었다. 예수의 어머니가 거기에 있었고, 예수와 그의 제자들도 그 혼인에 역시 초대되었다. 포도주가 떨어 졌을때, 예수의 어머니는 예수에게 말했다. "포도주가 떨어졌다." " 당신은 나에게 뭘하라고 말하지 말아야 합니다." " 내 때가 아직 오지 않았읍니다." 예수가 말했다. 예수의 어머니는 종들에게 예수가 뭘 말하든지 그대로 하라고 말했다. 유대인들은 씻는 의식을 가지고 있는데, 이러한 목적으로, 여섯개의 돌 항아리가 있었고, 이 삼십 갤론의 크기였다. 예수께서 그 종들에게 말했다. " 물로 이 항아리들을 채워라." .... 그 종들은 그 물을 그 잔치 책임자에게 갖다 주었다. 그 물은 포도주로 변했다. 약간 의역을 했다. 여러분들도 해석을 해보라.
✲
물질명사의 수량 표시 방법
- a piece of paper(종이 한 장) a piece of meat(고기 한 조각)
a piece of chalk(분필 한 개) two pieces of paper(종이 두 장)
- a cup of coffee(커피 한 컵) a cup of tea(한 컵의 차)
two cups of tea(두 컵의 차)
- a glass of water(한잔의 물) a glass of milk( 한 잔의 우유)
a glass of wine(한잔의 와인) two glasses of beer(두 잔의 맥주)
- a bottle of beer(한 병의 맥주) a bottle of Soju(소주 한 병)
- a slice of bread(빵 한 조각) a slice of meat( 고기 한 조각)
- a loaf of cake(케이크 한 덩어리), a cake of soap(비누 하나)
a sheet of glass(유리 한 장), a spoonful of salt(소금 한 스픈)
a pound of butter(한 파운드 버터), a pair of shoes(한 켤레의 구두)
a suit of dress(한 벌의 옷), a herd of cattle(가축 한 떼)
a school of fish(물고기 한 떼), a flock of goat(염소 한 무리)
a heap of sand(모래 한 무더기), a ton of rice(쌀 일 톤)
a carton of water(물 한 통), a can of cider(사이다 한 캔)
a reel of film(필림 한 통), a shower of rain(한 차례 비)
a pack of cigarettes(담배 한 갑), a piece of cigarettes(담배 한 개비)
이 외도 여러 예가 많으니, 각자 공부 할것.
✲ 물질명사의 보통명사화 : 부정관사를 붙이거나, 복수형을 써서 보통명사화 하여 제품이나, 종류, 개체를 표시.
- Dr. Ryu wears glasses(유 박사는 안경을 쓴다) 보통명사
This glass is made of glass(이 유리잔은 유리로 만들어 졌다) 물질명사
- Don't threw a stone(돌을 던지지 마라) 보통명사
This building was built of stone(이 건물은 돌로 지어졌다) 물질명사
- I bought an iron at the store(그 상점에서 다리미를 하나 샀다) 보통명사
The desk is made of iron(이 책상은 철로 만들어 졌다) 물질명사
✲
문법적으로는 다음 문장이 맞다. 그러나...
Please, two cups of tea(차 두잔 부탁 합니다). 실제 회화에서는
Please, two teas(차 두잔 부탁 합니다)도 가능하다. 왜 그럴까?
세상만사에는 경제의 법칙(최소 투자 최대 이익)이라는 것이 있다.
따라서 외교적 언사와 같은 경우를 제외 하고는 그런 표현이 가능 한 것이다.
세 단어면 될 것을, 다섯 단어를 쓸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이것을 영어로, " Economy of Language 언어경제 " 라고 한다.
문법적으로는 "The Bank of Korea"의 표현도 가능하다.
그러나 "Bank of Korea"라고 쓴다.
The를 쓰지 않으면 훨씬 간결하게 표현되며, 경제적 아닌가?
의미의 혼동도 없지 않은가?
Love me tender(엘비스 프레슬리가 부른 노래)의 표현중 tender는 문법적으로는
틀린 단어다. tenderly가 맞다. 즉, Love me tenderly로 해야 맞는 것이다. 언어는
서로의 소통에 목적이 있으므로, 많은 사람이 그렇게 하면 그것이 바로 규칙이 되어버리는 경우가 많다. 우리나라의 말중에 '달걀'은 원래 '닭알' '달갈'에서 온 말이다. 입술, 혀와 같은 발음기관의 피로도 등에 의해서 그렇게 된것으로 생각된
다. 북한에서는 현재 달걀을 닭알로 쓰고 있다.
'유해영영문법1'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21강. 명사의 수(Number) / 명사의 복수형 (0) | 2011.12.28 |
---|---|
제20강. 추상명사 / 명사의 종류 (0) | 2011.12.27 |
제18강. 고유명사 / 명사의 종류 (0) | 2011.12.26 |
제17강. 집합명사(군집명사) / 명사의 종류 (0) | 2011.12.25 |
제16강. 보통명사 / 명사의 종류 (0) | 2011.12.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