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영상은 유튜브 유해영tv에서도 제공되고 있다.
https://youtu.be/MqBMhgfMWao?si=H5iEtRX-SQoecnfY
제158강. 현재시제의 미래 표현 / 질문에 대한 답변
2015년인가 인도네시아에서 100헥터 벼농사 프로젝트를 수행할 때 받은 질문이다. 함께 공부해 보자.
..........................................................
아래와 같은 질문이 방명록에 올라왔다. 영어의 미래표현에 관한 것이다. 이 문제는 상당히 헷갈리는 것이기도 하다. 지금 인도네시아에 기술지도 차 와 있는데, 오늘 일요일이라 방금 현지 성당에 다녀왔다. 영어의 미래 표현에 대해서 공부해 보자.
......................................................................................
안녕하십니까
영어를 가르치는 선생입니다.
우연히 들르게 되었는데 찬찬히 많이 배우겠습니다.
제가 요즘 보는 영문법책이 있는데
In a few minutes, I will ask him what he wants to do tomorrow.
라는 예문을 들며
'꼭 시간과 조건의 부사절이 아니더라도
주절이 미래를 나타내면 의미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서 종속절은 현재시제를 쓴다'
고 되어있습니다.
제가 갖고 있는 책의 범위에서는 이것에 대해 참조할 곳이 마땅치 않아 여쭙니다.
.......................................................................................
우선 언어에 대해 생각해 보자. 언어의 여러 기능 중, 두 가지를 말해보자. 하나는 서사적(敍事的) 정보기능이고, 다른 하나는 서정적(敍情的) 정서기능이다. 서사적 정보기능이란, 사실을 있는 그대로 표현하는 사실 기술적 기능이고, 서정적 정서기능이란 사람의 감정을 전달하는 소통적 기능을 말한다. 영어는 서사적 기능이 강하여, 개별적이고 구체적이고 논리적이다. 한국어는 서정적 기능이 강하여, 함축적이고 상징적이다. 따라서 한국어 보다는 영어가 배우기에 좀 더 쉬운 언어라고 생각이 든다. 영어문장을 볼 때는 바로 이해가 되나, 한국어를 읽을 때는 선후 문맥을 연결해 보아야 이해가 되는 경우가 많다. 보통 영어는 존칭어가 별로 없다고 한다. 그러나 사실은 경우 경우에 대응해서 말하는 표현법이 잘 발달 되어있다. 실제는 존칭하는 표현법(여러 경우마다 그 상황에 적절한 소통을 위한 표현법)이 우리나라 말보다 훨씬 많다. 예컨데 비슷한 의미를 나타내는 말이라도, 화자의 의지를 강조하기도 하고(You must go now. 당신 지금 가야한다), 객관적 사실을 기준해 말하기도 하며(You have to go now. 당신 지금 가야한다), 청자의 의무적 상황을 얘기하기도(You should go now. 당신 지금 가야한다) 하는 등, 논리적으로 다양한 표현을 쓰고있는 것이다. 공부해 보면, 그들이 얼마나 세심하게 언어생활을 하는가 알 수 있으리라. 우라나라 말은, 함축적이고, 상징적으로 말해 놓고 청자가 여러 해석이 가능하도록 하는 말이 많은 것 같다. 이와 같은 특징은, 언어의 은유와 상징을 통해 다양한 청자들에게 각각의 수준에 대응하는 다양한 의미를 갖게 하고 전체를 포용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우리나라 말이 개별적이고 구체적 논리는 부족하나, 이 또한 전체를 아우르고 통합하는 위대한 면이 있는 것이다.
영어의 미래 표현은 기초 학교문법에서 가르치는 바와 같이, 조동사 will이나 shall을 써서 나타낸다. 가까운 매래는 현재진행형을 써서 표현하기도 한다. 그런데, 동사의 현재형으로 미래를 표현하는 경우가 있다. 위의 질문이 바로 그런 내용이다.
* 현재시제가 미래를 나타내는 경우.
1. 때를 나타내는 부사와 함께. 특희 왕래발착 동사에서.
- Dr. Ryu leaves Indonesia for Korea next Sunday. 유 박사는 다음 일요일에 인도네시아를 떠나 한국으로 간다. 미래의 일이지만, will leave라고 쓰지 않는다는 말이다.
- I am off tomorrow. 나는 내일 떠난다.
- I graduate from the collage next year. 나는 내년에 대학을 졸업한다.
2. 때(시간)를 나타내는 부사절에서
- I will discuss the project with Dr. Ryu when I get home tomorrow. 시간을 가리키는 부사절에서 will get이 아님. 내가 내일 집에 와서 유 박사와 그 프로젝트에 대해 상의할 것이다.
- I shall wait till he comes. 그가 올 때까지 기다리겠다.
- Put things in order while I am away. 내가 나가 있는 동안 물건을 정리해 두어라.
3. 조건을 나타내는 부사절에서
- I will study home if it rains tomorrow. will rain이 아님. 내일 비가 오면 집에서 공부할 거야.
- In case (that) our team wins, I will give you 1,000 dollars. will win이 아님. 우리 팀 이기면 천 불 줄게.
- If Dr. Ryu comes back to Korea from Indonesia, I will study English with him. 유 박사가 인도네시아로부터 돌아오면, 나는 그와 함께 영어를 공부할 것이다. will come라고 하지 않는다는 말이다.
4. hope 동사가 있는 문장의 종속절에서, 구어체
- Dr. Ryu hopes they study English well. will study가 아니고 study로 쓴다는 말. 유 박사는 그들이 영어공부를 잘하기를 바란다.
- I hope she succeeds. 나는 그녀가 성공하기를 바란다.
- He hopes that I pass the examination. 그는 내가 그 시험에 합격하기를 바란다.
5. 말하는 사람의 결심 강조
- Stop, or you are a dead man. = If you do not stop, you will be a dead man. 멈추지 않으면, 당신은 죽은 사람이 될 것입니다.
- Stir, and you are a dead man. = If you stir, you will be a dead man. 만약 당신이 몸을 흔들면, 당신은 죽은 사람이 될 것입니다.
- I tell you what it is. 그게 뭔지 말해드릴게요.
- One word more, and my story is done. 한 마디만 더 하면 내 이야기는 끝나요.
6. 강조 구문에서 that절의 내용이 미래 일을 나타낼 경우에도 It is ...that을 쓰는 경우
- It is here that I shall die. 내가 죽을 곳은 바로 여기다.
- It is he that will be sent to prison. 감옥에 보내질 사람은 바로 그 사람입니다.
선생께서 질문하신, " In a few minutes, I will ask him what he wants to do tomorrow." 문장은 what 이하가 시간조건 부사절이 아니고, 명사절인데도, 현재형 동사로 미래의 의미를 표현한 것이다. 이렇게 생각할 수 있을 것이다. what he wants to do tomorrow 이 부분의 의미가 ‘그가 내일 하기를 원하는 것’이니 미래의 의미가 약하고 희망 사항이라 미래를 쓰지 않는 것 같다. 그리고 중복을 피하고 가급적 생략하는 경제의 원칙이 있다. 바로 선생의 질문 내용에 있는 그런 이유로 현재형으로 미래를 표현한 경우라고 생각이 든다. 그들이 그렇게 쓰면 그렇게 쓰는 것이다. 굳이 왜 그렇게 쓰느냐고 따질 필요가 없고 그대로 받아드리라는 말이다. 물론 그들이 왜 그렇게 쓰는 가! 그 섬세한 이유를 이해하면 더 좋은 것이다.
다음은 과거형인데, 현재의 의미로 사용되는 경우이다.
- I wanted to buy it last time. 이 문장은 형식이 과거이다. 그런데 사실은 현재 자신이 사고 싶다고 하는 표현으로 상대방을 배려한 문장이기도 하다. 과거를 써서 상대방에게 부담을 주지 않고 자신의 의사를 완곡하게 전하는 표현이다. '지난번 그것을 사고 싶었었는데'라는 분명한 과거 문장이지만, 그 의미는 '그것을 사고 싶은데 좀 사주실 수 없나요?' 정도의 현재를 나타내는 문장이다. 여자들이 자기 애인에게 살며시 무엇을 사 달라고 할 때 쓸 수 있을 것이다.
언어를 공부해 보면, 재미도 있다. 인간의 섬세한 마음을 이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
'유해영영문법3'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160강. 간접의문문의 직접의문문으로의 전환/질문에 대한 답변 (0) | 2025.02.10 |
---|---|
제159강. want, hope, to, that의 의미 차이/질문에 대한 답변 (0) | 2025.02.10 |
제157강. as 용법, 질문에 대한 답변 (1) | 2025.02.10 |
제156강. 주어와 대명사의 활용 요령/질문에 대한 답변 (0) | 2025.02.08 |
유해영영문법 특강5. 전치사 분류/질문에 대한 답변 (1) | 2025.02.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