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95강. 부정사의 시제와 의미상의 주어
부정사의 시제
☆ 단순 부정사
1. 술어 동사의 시제와 일치
- He seems to study English. = It seems that he studies English. 그는 영어를 공부하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 He seemed to study English. = It seemed that he studied English. 그는 영어를 공부하고 있는 것처럼 보였다.
2. 술어 동사 이후 시제
- hope, wish, want, intend, promise, 등과 같은 미래 동사와 같이 사용되면 술어동사 이후를 나타낸다.
- I hope to see her again. = I hope that I will see her again. 그녀를 다시 만나기를 바란다.
- I hoped to see her again. = I hoped that I would see her again. 그녀를 다시 만나기를 바랬다.
☆ 완료 부정사
1."to have + p.p" 형태의 부정사를 말한다. 술어 동사 보다 하나 앞선 시제를 말 한다 .
- The idea seems to have been wrong. = It seems that the idea was/have been wrong. 그 아이디어가 잘못 된 것처럼 보인다.
- The idea seemed to have been wrong. = It seemed that the idea had been wrong. 그 아이디어가 잘못 된 것처럼 보였다.
2. 과거의 이루지 못한 소망
- "미래 동사의 과거형 + to have 과거분사" 형태
- 희망, 기대, 의지를 나타내는 동사, want, hope, wish, intend, expect, promise, mean, be to 등 미래의 의미가 있는 동사.
- I hoped to have seen him yesterday. = I hoped to see him yesterday, but I couldn't. 어제 그를 봤기를 바랐는데. 못 봤다.
- We expected him to have attended the meeting. 우리는 그가 그 모임에 참석했기를 기대했었다.
의미상의 주어
개념설명
부정사는 비정형동사(infinite verb)이므로 문법상 주어를 갖지는 못하나, 동사의 성격을 가지고 있어 그 동작의 행위자가 있는 것이다. 이를 의미상의 주어(sense subject)라고 한다. This is a pen to use. 이 문장에서 to use의 행위자(주어)가 this가 될 수 없다. 따라서 이 문장은 "This is a pen to be used." 와 같이 써야 한다. I have a pen to use. 이문장의 to use의 행위자는 I가 될 수 있으므로 I가 의미상의 주어가 되는 것이고, 바른 문장이 되는 것이다.
☆ 문장의 주어가 의미상의 주어와 일치하는 경우
1. I want to study English. 공부한다는 것이 바로 나 임으로, to study의 의미상의 주어는 바로, I인 것임.
2. He promised me to come again. 이 문장에서 주어가 될 수 있는 것은 he와 me 이다. me가 오겠다는 것이 아니고 he가 오겠다는 것이므로 의미상의 주어는 he가 되는 것이다.
☆ 문장의 목적어가 의미상의 주어와 일치하는 경우
1. She asked him to come again. 이 문장에서 she, him 중에서, 온다는 것이 him 즉, 목적어와 일치하는 경우다.
2. He thinks Tom to be honest. 그는 톰이 정직하다고 생각한다.
☆ 문장의 주어와 목적어가 의미상의 주어와 일치하는 경우에는 별도로 주어를 두지 않는다. 그러나 일치하지 않는 경우, for, of 를 이용, 주어를 둔다.
☆ for 목적어 to 부정사 / It is A for B to C. B가 C하는 것이 A하다.
1. It is difficult for the boy to read the English book. 그 소년이 그 영어책을 읽는 것은 어렵다. 이 문장의 주어는 for 이하로 "그 소년이 영어책을 읽는 것"인데 너무 길어 가주어 it로 받았다. 그러면, to read의 행동주체는 누구인가? 바로 the boy가 의미상의 주어가 되는 것이다.
2. It is impossible for us to fly like birds. 우리가 새처럼 나는 것은 불가능 하다. 이 경우 us는 특정 집단이라기보다, 일반사람 (generic person) 전체를 나타내므로, 생략이 가능하다. 즉, It is impossible to fly like birds. 개념설명과 비교해 보자.
3. 이 형식의 문장을 받는 동사, easy, natural,
necessary 등
☆ of 목적어 to 부정사 / It is A of B to C. B가 C하는 것이 A 하다.
1. 사람의 성격을 나타내는 인성형용사 kind, bad, nice, good, clever, foolish, careful, careless, rude, stupid, considerate 등이 올 때는 for 대신 of를 쓴다.
2. It is kind of you to do so. 네가 그렇게 하니 친절하다. 우리식의 표현으로 는, 당신이 그렇게 해주니 고맙다. 정도의 말.
3. It is wrong of us to tell a lie. 이 경우 of us는 일반적 사람(generic person)이므로 생략한다. It is wrong to tell a lie. 즉, 거짓말 하는 것은 나쁘다.
이 파트는 어려운 부분은 아니나, 문장의 구성을 이해하기에 좋으니, 정독해서 그 의미를 파악해 두면, 영어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이것으로 부정사 강의를 마무리 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