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86강. 조동사 can, could, may, might
☆ can, could
1. 가능 / 능력, 과거형은 could, 미래형, 완료형은 be able to
- He can solve the problem. 그 문제를 풀 수 있다.
- He could not solve the problem. 그 문제를 풀 수 없었다.
- He could not remember the problem. 그 문제를 기억할 수 없었다.
- He will be able to solve the problem. 그 문제를 풀 수 있을 것이다.
- The boy will be able to understand the problem in the future. 그 소년은 장래에는 그 문제를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 I had been able to investigate rice farming practices when I was in Ghana. 내가 가나에 있었을 때 벼 농사기술을 조사할 수 있었다.
2. 강한 의문과 부정 / 추측
- Can the reports be true? 그 보고가 사실일까?
- The reports can not be true. 그 보고가 사실일리 없어. 현재
- The reports can not have been true. 그 보고가 사실이었을리 없어. 과거의 부정 표현이 could not 이 아니고, can not have + 과거분사.
3. 허가, may 보다 부드러운 표현
- You can play football here. 여기에서 축구해도 좋다. 화자가 허락하는 입장
- You may play football here. 여기에서 축구해도 좋다. 특별한 금지 규정이 없다는 말. can은 권한이 화자에게, may는 권한이 3자에게 있는 경우. 문용, 고급영문법 해설 참조
- Can I see you the day after tomorrow? 모레 뵐 수 있을 까요?
- Can you tell me the way to the office? Could you tell me the way to the office? 형식만 과거형, 실제는 현재를 말함. 위 문장은 모두 "그 사무실 가는 길을 말해 주실래요?" 이지만, could를 썼을 경우 더 공손한 표현(과거가 아님)이 된다. 과거와는 상관없는 표현임.
4. 관용적 표현
– can not but + 원형 = can not help— ing = 뭐뭐 하지 않을 수 없다.
- I can not but tell you. 너에게 말하지 않을 수 없다.
- I can not help telling you. 너에게 말하지 않을 수 없다.
- can not — too, 아무리 뭐뭐 해도 지나치지 않다.
- I can not thank you too much. 뭐라고 감사해야 할지 모르겠다.
☆ may, might
1. 허가, 대표적인 의미로, 과거는 might.
- You may go to the concert tonight. 오늘 저녁 음악회에 가도 좋다.
- May I use your pen? 펜을 써도 좋을까요? Yes, you may. 좋아요. No, you may not. 안돼요. No, you can not. 안돼요. No, you must not(강한거절) 절대로 안돼요.
2. 추측, 과거형은 may have + p.p
- He may be a rich man. 현재 그는 부자일 런지 모른다.
- He may have been a rich man. 그는 과거에 부자였을 지도 모른다.
3. 기원문
- May God bless you! May she succeed! 동사의 원형을 써야 한다. 즉, May 주어 + 동사원형
4. 관용표현
- He studied English hard so that he might pass the entrance exam. in order to의 의미. 입학시험에 합격하기 위해 영어를 열심히 공부했다.
- He may well be proud of his daughter. 그가 딸을 자랑스럽게 생각하는 것은 당연하다.
- You may as well get up early. 일찍 일어나는 편이 좋겠다. 뭐뭐 하는 편이
- may / might as well A as B, B할 바에는 차라리, A 하는 것이 낫다.
- I might as well persuade a dog as try to the man. 내가 그 사람을 설득하는 것 보다 개를 설득하는 편이 낫겠다.
- You may as well eat here as anywhere else. 다른 곳보다 여기서 먹는 것이 좋겠어.
우선 개념 파악이 중요한다. 본인의 예가 다소 비영어적인 경우도 있겠으나, 문장의 구조적인 이해와, 수식 관계의 파악이 훨씬 중요하다.
'유해영영문법2'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88강. 조동사 used to, need, dare, had better, would rather (0) | 2023.04.06 |
---|---|
제87강. 조동사 must, ought to, came (0) | 2023.04.06 |
제85강. 조동사 be, have, do (0) | 2023.02.08 |
제84강. 현재, 과거, 미래, 완료 진행형 (0) | 2022.12.01 |
제83강. 진행시제, 현재분사/동명사 만드는 법 (0) | 2022.12.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