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23강. 등위접속사 for, also, so, however
☆ for
1. 앞 문장에 대해 추가적고 부가적인 설명을 할때 for, 그 자체에 대한 원인 결과를 말할 때는 because 를 쓴다. for 다음에는 완전한 문장이 오며, 주로 앞에 콤마를 둔다. for는 주로 전치사로 많이 쓰여 콤마를 찍지 않을 경우 혼동의 여지가 있다. for는 문두에는 올수 없으나, because는 문두에도 올 수 있다. for 는 문어적인 표현으로 회화에는 잘 쓰지 않는다.
2. 용례
- It is morning, for the birds are singing. 아침이다, 새들이 지저기고 있으니까.
- I want to stay home, for I feel tired. 피곤해서 집에 있어야 겠다.
- I want to stay home because I feel tired. 같은 의미로, Because 를 앞으로
내세울수 있다. Because I feel tired, I want to stay home.
☆ also
1. and also, too, and 등과 거의 비슷한 의미다.2. The guy is mean, also ugly. 그녀석은 비열하고 못 생겼다.3. 현대 미국 영어에서는 주로 문두에 온다. 격식을 갖춘 영어에서 쓰인다.- Also, Dr. Ryu keeps three dogs and he plays a guitar from time to time. 또 유박사는 세 마리의 개를 키우고 있고, 그리고 때때로 기타를 친다. 그렇다 본인은 세마리의 개를 기르고 있고 때때로 기타를 치며 노래를 부른다. 본인은 3년 동안, 별도의 음악 공부를 한 바 있다.음악은 인간이 알고 있는 가장 최대의 선이며, 우리가 땅 위에서 누릴 수 있는 천국의 모든 것이라고 한다. 피타고라스는 육체의 병은 의학이 치료하고, 마음의 병은 음악의 몫이라고 하였다고 한다. 우리가 스킨쉽을 통해서 서로 위로를 하는데, 마음을 스킨쉽 해주는 방법으로 음악이 최고인 것 같다.
☆ so
1. It grew darker, so I went home. 날이 어두어져 집으로 갔다. 그래서, 그러므로
2. She checked carefully, so the mistakes were caught.
주의 깊게 살펴보았으므로 잘못이 발견되었다.
3. It is too late so you'd better go to bed. 너무 늦어 자는게 좋겠다.
4.The dogs are hungry, and so I have to feed them.
개가 배가 고파하니 먹이를 주어야 겠다.
5. 종속 접속사로서, so that 뭐뭐하기 위하여
- Speak a little louder so ( that ) we can all hear you.
우리 모두가 들을 수 있도록 좀더 크게 말해 주세요.
6. 추가적 결과의 의미로 쓰일 경우, so 다음에는 완전한 문장이 오며, so앞에는
콤마를 주로 쓰고, so that, so 두가지로 쓰여 진다.
- I worked hard , so that my family could live in comfort. 나는 내 가족이 편안하게 살 수 있도록 열심히 일했다.
☆ however
1. 어떤 방법으로 라도. You can do that however you like. 당신이 좋은대로 그것을 해도 된다.
2. Rice breeders, however, have developed new rice varieties to alleviate poverty. 그러나 벼 육종가들은 빈곤을 완화시킬 새로운 벼 품종들을 개발했다. 현재는 벼, 밀, 옥수수, 감자 등으로 인류가 배고픔을 해결하고 있지만, 기상이변 등으로 건조해질 것을 대비하여, 가뭄에 강한 수수(sorghum
) 등 으로서 앞으로의 인류의 식량 부족에 대비하여, 육종가들은 준비하고 있다.3. Later, however, Dr. Ryu makes up his mind to teach English to a lot of Koreans. 그러나 후에 유박사는 많은 한국인들에게 영어를 가르칠 결심을 하고있다.
미국 참고서들의 설명을 보면, a lot of / a lots / etc 등의 표현은 격식체의 문장에서는 사용을 하지 말라고 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에 미국 유명 대학출판부에서 발간된 미국 참고서들을 보면, a lot of / a lots / etc 등의 표현들이 실제로 많이 쓰여지고 있다. 아마, 현대 영어에서는 이런 표현들이 점점더 많이 쓰여지고 있는 듯 하다. 영국에서 출판된 책들에도 그러한 표현들이 부지기수로 쓰이는 것을 보면, 두루 쓰이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유해영영문법1'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125강. 명사절을 이끄는 종속접속사 but, lest, if, whether (0) | 2012.04.13 |
---|---|
제124강. 명사절을 이끄는 종속접속사 that (0) | 2012.04.11 |
제122강. 등위접속사 and, but, or, nor (0) | 2012.04.08 |
제121강. 접속사(接續詞 Conjunctions)의 개요 (0) | 2012.04.08 |
제120강. 가정법 구문의 유의사항 (0) | 2012.04.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