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해영영문법2

제100강. 동명사의 의미상의 주어와 시제

유해영 2023. 7. 21. 06:16

100. 동명사의 의미상의 주어와 시제

동명사, 부정사, 현재분사 모두 의미상의 주어가 있다. 동명사에서 의미상의 주어를 생략되는 경우와 명시하는 경우가 있다.

 

동명사의 의미상의 주어

 

 의미상의 주어를 생략하는 경우, 일반인을 나타내거나 문장의 주어, 목적어와 일치될 때, 문맥상으로 분명할 때.

 

1. 일반적인 것을 말 할 때

- Seeing is believing. 보는 것이 믿는 근거가 된다. 백문이 불여일견.

- Shooting animal is forbidden here. 동물을 잡으려고 총 쏘는 일이 여기서 금지된다.

- Hunting is forbidden here. 여기서는 사냥 금지다.

- Teaching is learning. 가르치는 것이 배우는 것.

- Doing is knowing. 해보면 알게 된다.

- Fishing in this river is forbidden.  이 강에서는 낚시는 금지된다.

2. 문장의 주어와 동일 할 때

- I cannot help falling in love with you. 나는 당신을 사랑하지 않을 수 없다.

- He insisted on loving you. 그는 당신을 어떻게 해서라도 사랑한다고 주장했다.

- He regrets having made mistake. 실수한 것을 후회한다.

3. 문장의 목적어와 동일할 때

- He blamed her for saying so. 그는 그녀가 그렇게 말한 것에 대해 비난했다.

- The strong wind kept us from going on a picnic yesterday. 강한 바람 때문에 어제 우리들이 소풍을 가지 못했다.

 

 의미상의 주어를 명시하는 경우, 의미상의 주어가 문장의 주어나 목적어와 같지 않으면 주어를 명시해야 하는데, 동명사 앞에 소유격을 써서 나타내는 것이 일반적, 그러나 목적격, 주격, 공통격(주격과 목적격에 공통으로 쓰는 격)을 쓰는 경우도 있다.

 

1. 소유격으로 된 의미상의 주어

She insisted on  his  going there. 그녀는 그가 거기에 가야 한다고 주장했다. She insisted on going there. 주어 she 와 동일, 의미상 주어 생략. 그녀는 거기에 가기를 주장했다.  She insisted on  her  going there. 이 문장은 다음과 같이 해석함이 옳음그녀는 (또 다른그녀가 거기에 가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와 같이 논리를 전개해서 문장을 만들어서 표현하는 것임. 영문법은 어떠한 불변의 원칙이 따로 있는 것이 아니라, 논리상 맞으면 누구의 논리든 간에 맞는 것임. 이러한 논리는 본인의 논리이나, 틀릴 이유가 없는 것임. 이러한 방식으로 모든 것을 생각하는 것이 중요함. 그러한 자세로 살면, 세상만사와 우주만물에 대해서 많은 근본적 원리를 알게 되는 것임. 모든 일에 절대 불변의 근본적 원리가 따로 정해져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임. 다소 어려운 말이기는 하나, 그렇게 근본을 추구 하며 살기를 권함.

- Dr. Ryu is proud of his wife's  being happy. 유 박사는 그의 아내가 행복하게 사는 것에 보람을 갖고 있다. 사실 본인은 본인의 처가 나름 행복하게 사는 것을 참 다행으로 여기고 있음.

2. 목적격으로 된 의미상의 주어

My wife doesn't like me going abroad much. 나의 처는 내가 해외에 많이 가는 것을 좋아하지 않는다. my 대신 me를 썼다. 영문학자 입장에서는 바람직하지는 않다고 한다. 그러나 실제로는 쓰여 진다고 한다.  

- She doesn't like  him  smoking in the room. 그녀는 그가 방에서 담배 피우는 것을 좋아하지 않는다. his 대신 him을 썼음. 소유격은 격식문에서, 목적격은   일상적 회화체에서 사용되어진다, 문법적으로 his를 쓰자고 해놓고 him을 쓸까요?  like가 타동사이므로 him이 왔을 때 모양이 자연스럽지요. 그리고 뒤에 smoking이 오니까, 현재분사형도 형태가 같으니까 형용사처럼 수식하는 것처럼 보이기도 하죠. like뒤에  his가 오면 언뜻 보기에 좋지 않습니다. 타동사 뒤에 소유격이 보통은 안 오거든요. 그래서 그렇게 쓰는 것일 겁니다. 대충 언어가 그런 식으로 변화하는 겁니다.

3. 주격으로 된 의미상의 주어

He and his brother both  being  too weak makes hard work for their father.  그와 그의 동생이 너무 약한 것은 그들의 아버지에게 어려운 일이다.

- It is no use  you trying to love me. 네가 나를 사랑하려고 하는 것은 소용이 없는 일이다. you를 주격, 목적격, 통격(通格 Common Case)이라고 한다.

4. 통격으로 된 의미상의 주어 주격과 목적격 공통으로 쓰는 것을 통격이라고 한다.

- I like  Mr. kim doing such a thing. 나는 김 씨가 그렇게 하는 것을 좋아한다.

- I hate people being too poor. 나는 사람들이 너무 가난한 것을 원치 않는다.

 

동명사의 시제

 

단순형 동명사(Simple gerund)

 

1. 단순 동명사가 본문의 서술 동사와 같은 때를 표시

- He is proud of being wealthy. = He is proud that he is wealthy. 그는 부유한 것을 자랑으로 여긴다.

- He was proud of being wealthy. = He was proud that he was wealthy. 그는 부유한 것을 자랑으로 여겼다.

2. 단순 동명사가 본문의 서술 동사 보다 이후를 나타낼 때 / 미래

- I am sure of her succeeding. = I am sure that she will succeed. 나는 그녀의 성공을 확신한다.

- I was sure of her succeeding. = I was sure that she would succeed. 나는 그녀의 성공을 확신했다.

3. 단순 동명사가 본문의 서술 동사 보다 과거를 나타낼 때

- I remember seeing her in New york.= I remember that I saw her in New york. = I remember that I have seen her in New york. 나는 그녀를 뉴욕에서 본 것이 생각난다. 단순과거 혹은 완료적 해석은 전후 문맥에 따라 해석.

 

완료형 동명사( Perfect gerund)

 

완료형 동명사가 본문의 서술 동사 보다 이전을 나타낼 때

- He is proud of having been wealthy. = He is proud that he was wealthy. = He is proud that he has been wealthy. 그는 그가 부자였던 것을 자랑한다.

- He was proud of  having been wealthy. = He was proud that he was wealthy. = He was proud that he had been wealthy. 그는 그가 부자였던 것을 자랑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