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5강. one, none / 부정대명사
✲ 부정(不定)대명사, Indefinite Pronoun
- 특정한 사람이나 사물을 가리키지 않고 막연히 사람이나 사물을 가리키는
대명사를 부정대명사라고 한다.
- 형용사적으로 쓰이는 부정대명사를 부정형용사라고도 한다.
- 명사적, 형용사적으로 함께 쓰는 말 : all, both, each, any, some, such, same, either, neither, other, another, one, enough, several...
- 명사적으로만 쓰는 말 : no one, none, nobody, nothing, someone, somebody, something, anyone, everyone, everybody, everything...
- 형용사적으로만 쓰이는 말 : every, no
✲ one의 용법
1. 수사로서 하나, 하나의, 한사람, 한사람의 이라는 뜻으로 쓰인다.
a, an을 강조할 때 one을 쓴다. 즉 명사적, 대명사적, 형용사적 으로 쓰인다.- One and two makes three. one or two, one at a time. 등. 명사- One plus two is / equals three. 명사. 위문장과 같은 말
- One of the books is hers.= A book of the books is hers. book 이 중복되어 그 대신 one 으로 썼음. 이 책 중 하나가 그녀의 것이다. 대명사
- I have lost my pen, I have to buy a new one.펜을 잃어버려 새것하나 사야해.
- One man one vote 일인 일표. One dollar, One or two days 형용사적
아래는 one에 대한 원어민들의 설명이다.
One is used instead of a noun that has been already been mentioned or which the person you are talking to already knows about.
2. 총칭인칭(Generic person)으로 사람, 세상 사람들, 누구나 의 뜻으로 쓴다. one, one's, one, oneself 처럼 격 변화를 한다. 미국에서는 he, she의 격변화형을 쓴다고 한다.
- one must obey one's(his) parents. 사람은 부모에게 복종해야 한다.
- one should keep one's vow. 사람은 서약한 것을 지켜야한다.
3. 이미 나온 가산 명사(a/an + noun)의 반복을 피하기 위한 반복으로 쓴다.
- I want a peach. May I take one? 나는 복숭아를 원한다. 하나 먹을까요?- Do you keep a dog? Yes, I keep one. 개 길러? 응 하나.- Do you have the book? Yes, I have it. 여기서는 one이아니라 it가 맞다.- Married people tend to be happier than unmarried ones. 복수형
기혼자는 미혼자보다 더 행복한 경향이 있다.
- Red tomatoes taste better than green ones. 붉은 토마토가 맛이 좋다. 복수형
4. 기타
- one day I had visited a village in Ghana. 어떤날(과거) 나는 가나에서 한 마을을 방문했었다. 본인이 가나에서 부족들이 사는 마을을 방문한 적이 있다.
Some day I will visit again the village. 어떤날(미래) 나는 그 마을을 다시 방문할 것이다.
다음과 같은 경우는 one을 사용할수 없다.
-불가산 명사를 대신해 사용할수 없다.
-형용사를 수반하지 않은 소유격에는 사용할수 없다.
✲ none의 용법
1. none는 no one에서 유래한 것이다. 아무도..않다, 아무것도..없다 의 의미.
2. 단수 복수 같이 쓰이나, 단수를 강조시 no one을 쓴다. 독립적으로 쓰이는
경우 복수 취급, 불가산명사와 함께 쓰이면 단수 취급.
- There were none present. 아무도 출석하지 않았다. 복수
- None of them know anything about it yet. 아무도 아직 모른다. 복수
- None of information is useful to me.그 정보는 나에게 아무 쓸모없다.
- No one man can do it. 누구든 혼자는 못한다.
- No one knows his name. 아무도 그의 이름을 모른다. 단수
원어민들의 설명을 들어보자.
- When none of is followed by a plural noun, it usually takes a plural verb in ordinary spoken English: None of us are ready yet.
구어체에서는 is 가 아니고, are 를 쓴다는 말.
- In formal writing a singular verb is used: None of our factories is in operation yet. 문어체에서는 단수동사를 쓴다는 말.
no의 용법
- 가산명사와 불가산명사 모두 수식, 대명사 기능이 없다. 형용사, 부사로 쓰인다.
드물게 명사로 쓰이는 경우가 있다. 단수보통명사에서 not a, 불가산명사나 복수명사에서 not any의 의미를 나타낸다.
- 부정의 의미를 나타내며, have, there is 등에는 보통 not이 아닌, no를 쓴다.
- No news is good news. 무소식이 희 소식.
He has no wife. 그는 부인이 없다. He has no a wife. no, a 는 한정사여서
같이쓰지 않는다. 즉, He has no a wife.는 틀린 문장.
He has not a wife. 이 문장 보다는 위 문장을 더 많이 쓴다는 말.
- 무(無), 비(非) 의 뜻이 있다.
No Parking 주차 금지, No Entry 출입 금지.
철원성당 신부님께서 강론 시간
에 하신 말씀으로, No pains, no gains. 수고, 또는 의무 이행 없이 혜택 없다. pain 이라는 단어는 고통이라는 말이지만, 복수로 써서, 노력, 수고, 의무 이행이란 뜻이 있다. gain은 얻다라는
뜻이지만, 복수로 써서, 혜택이라는
의미가 있다. 현재는, No pain, no gain 처럼 복수형를 쓰지 않고 단수형을 쓴다고 한다. 모든 것에는
경제의 원칙이 적용되는 법. 바로, 이런 것을 Economy of Language 라고 한다.
- Two noes make a yes. 두번 부정은 긍정이다. no 가 명사로 쓰인 예
It is not true that I don't love her. 내가 그녀를 사랑하지 않는다는 것은 사실이 아니다. 결국 사랑한다는 말. 아닌 것이 아니니까. 결국 그렇다는 말.
손자병법 중에서 많이 말해지는 문장을 살펴보자.
여러가지로 영역이 가능하다. 쉽게 표현해봤다.
손자 병법 / Sun Tzu's The Art of War
지피지기 백전백승 ( 知彼知己 百戰百勝)
If you know the enemy and yourself, you can get the victory in every battle.
If you know your enemy and yourself, you will be victorious in every battle.
그러나 손자병법에는 '지피지기 백전백승' 라는 말이 없고, '지피지기 백전불태' 라는 말이 있다. 이 말은 '손자병법, 모공편 제3'에 나오는 말이다. 그 의미는 같다고 할수있다.
지피지기 백전불태 ( 知彼知己 百戰不殆)
If you know your enemy and yourself, you will not be dangerous in every battle.
모든 공부라고하는 것은, 결국 자타(自他)에 대한 이해를 넓혀 가는 것이다. '자신과 자신을 둘러 싸고 있는 일체의 상황에 대한 이해'에 대하여 의문이 없을때, 바로 큰 깨닯음을 얻었다고 한다. 비로서 자유인이 되는 것이다.
그러나 자타에 대한 내용이 너무 광대하고, 이 세상이 온갓 충동으로 가득차 있어 깨닯음을 얻기가 어렵다. 거의 모든 사람은 자신이 생각하고 있는 것이 옳다고 하며, 즉 우선해야 할 가치라 하며, 동조하기를 원한다. 또한 그러면서 선동하고 심리적 압박을 가한다. 여기에서 많은 사람들이 번민을 하게된다. 물론 이러한 번민을 통해서 인간은 한층 성숙해 지는 것이다. 우선 자신의 직업과 관련 최대한의 지식을 얻도록 노력하는 것이 중요하다. 우선은 자신의 직업이 자신의 종교가 되기를 본인은 권한다. 그러면서 더욱 본질적인 문제에 조금씩 접근해 가면 될 것이다.
'유해영영문법1'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37강. other, another / 부정대명사 (0) | 2012.01.05 |
---|---|
제36강. some, any / 부정대명사 (0) | 2012.01.05 |
제34강. such, same, so / 지시대명사 (0) | 2012.01.04 |
제33강. this, that / 지시대명사, Lex Talionis 동해보복법 同害報復法 (0) | 2012.01.03 |
제32강. it 의 용법 (0) | 2012.01.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