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원쌀의 네가지 좋은점
쌀은 우리의 주 식량으로서 그 소중함은 더 말할 필요가 없을 것이다. 또한 우리나라의 어느지역에서 생산된 쌀이라도 현재 극히 일부 지역을 제외하고는 우리가 먹기에 아무런 문제점이 없다는 것이 일반적인 견해이며, 잔류농약의 위험성에 있어서도, 벼 껍질속에 있는 현미를 깍아서 백미를 먹고 있을 뿐만 아니라, 현미식을 하는 경우라도 현미가 벼 껍질로 싸여 있어 껍질을 벗긴 후 먹기 때문에 안전한 것이다.
쌀은 우리가 먹기에 안전한 좋은 곡식이지만 특히 철원쌀은 청정성, 안전성, 품질 및 상품으로서의 신뢰성에 있어서 다른지역의 쌀에 비해 우수한 점이 많아 이를 소개하고자 한다. 아울러 철원평야가 우리나라 벼농사에서 차지하는 위치가 어느정도인지도 언급하고자 한다.
철원평야를 강원도의 대표적인 평야라고 한다. 필자도 습관적으로 그렇게 말해왔다. 그러나 자료를 분석해보면 철원평야는 강원도의 대표적인 평야만이 아니라,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주요 평야라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더욱이 조생종 벼 재배 평야로는 단연 우리나라 제 1의 평야라는 사실이다.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평야 중, 한강하구에 발달된 김포평야가 있으며, 현대에서 개발한 서산간척지도 광활한 벼농사 지대로, 비행기로 볍씨를 뿌리고 초대형 농기계로 농사를 짓고 있다. 필자도 현장을 두번 방문 견학한바 있다. 올해 김포시의 논면적은 7,500헥타이며, 현대 서산간척지 평야도, 논 면적이 9,464헥타에 불과하다.
철원군의 논면적은 10,333헥타이다. 이것은 강원도 논면적 50,098헥타의 20.6%이며 홍천군(5,502ha), 원주시(5,227ha), 횡성군(4,555ha), 강릉시(4,227ha) 각각의 약 2배가 되는 면적이다.
우리나라 조생종 벼재배 지역은 강원도를 비롯해서 소백산맥을 따라 분포하고 있다. 경북의 상주, 전북의 무주, 진안, 장수, 남원지역이 바로 조생종 지대이다.
그러나 경북 상주의 경우 상주시 일부에서만 조생종이 재배되며, 중만생종벼가 거의 다 재배되고 있다. 전북 남원은 운봉을 중심으로 4개면, 장수군은 북쪽으로 5개읍면, 무주군 6개읍면 , 진안군 9개읍면 정도가 조생종 지대라고 한다.
따라서 철원평야는 강원도의 대표적 평야임은 말할 것도 없고,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주요 평야이며, 조생종 평야로서는 단연 제1의 평야임을 다시한번 강조하는 바이다.
필자가 어렸을때는 텃밭에 배추를 재배하는데 인분을 거름으로 사용하였다. 인분을 주어 채소를 재배하면 기생충알이 채소를 통해 사람에게 오염되므로 청정성이 문제가 되기 때문에, 청정채소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화학비료로 재배하거나 온실 등에서 수경재배를 해야 한다고 하였다.
철원쌀이 뛰어난 청정성을 갖고 있다는 말은 철원의 벼 재배 환경이 오염되어 있지 않고, 깨끗하다는 말이다. 철원의 벼 재배환경이 특별히 깨끗하므로 그곳에서 생산된 철원쌀은 특별한 청정성을 갖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벼 재배 환경의 핵심 사항은 토양과 관개수이나, 특히 관개수가 가장 중요하다. 왜냐하면 광산지역 등 극히 일부지역을 제외하면 관개수만 오염되어 있지 않을 경우, 토양은 별 문제가 없기 때문이다.
상수원수의 수질을 나타내기위한 기준으로 1~3급수로 구분 분류하는데, 1급수란 생물학적 산소요구량(BOD)이 1ppm이하인 물로서 여과등 간단한 정수처리만 거치면 먹을수 있는 물을 말한다.
철원쌀은 1급수로 재배 생산한 쌀이다. 어떤 사람은, 1급수는 사람도 마시기 어려운데, 정말로 1급수로 농사 짓는 것이 사실이냐고 물어오는 사람이 있다. 사실이다.
철원에서는 비무장지대 남쪽 철책선에 인접해서 저수지를 만들고, 비무장지대 안에서 흘러나오는 물을 가두었다가, 그 물로 농사를 짓는다. 토교저수지, 동송보, 산명호 등이 그러한 저수지다. 또한 한탄강의 유래하천이며 비무장지대에 있는 한탄천에서 흘러나오는 물을 한탄강 최상류에서 퍼서 농사를 짓는다. 이러한 청정조건을 가지고 있는 대규모 평야로는 국내에서 철원평야가 유일하다.
물론 우리나라 전지역의 산골짜기의 논은 대부분 다 깨끗한 청정 조건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그러한 논에서 생산된 쌀이 별도로 구분되어 소비자에게 전달되지 못하고 일반 평야지에서 재배된 쌀과 섞여서 판매되므로, 그러한 쌀은 청정쌀로서의 의미가 없다는 것이다.
안전성이란 말은 잔류농약의 위험성 정도를 나타내는 말이다. 농사를 짓는데 농약을 전혀쓰지 않기란 사실상 어려움으로, 상대적으로 농약을 적게 치거나 올바르게 쳤을때 그만큼 안전성 높은 쌀을 생산 할 수 있는 것이다.
철원은 기본적으로 병해충의 발생이 현저히 적어 농약을 적게 치므로 철원에서 생산된 쌀은 안전성이란 측면에서도 우수하단 말이다.
철원지역이 타지역에 비해 병해충의 발생이 적은 이유는 다음과 같다. 우선 겨울의 온도가 전국에서 제일 낮아 해충의 애벌레나 병균이 월동하지 못하고 죽기 때문에 병해충의 발생이 적다. 뿐만아니라, 여름철 중국 남부지방에서 날라오는 멸구류 등의 해충이 중남부 평야까지는 크게 영향을 주나, 남한 북쪽에 위치한 철원평야까지는 날라오는 비율이 현저히 적어, 해충의 발생이 미미한 편이다.
철원평야는 좋은 품질의 쌀을 생산하는 세가지 조건을 가지고 있다. 벼가 잘여물고, 침수와 도복이 거의 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철원산 오대쌀 1,000알의 무게는 25g 이상이나, 다른지역산 오대쌀 1,000알의 무게는 23g정도이다. 이렇게 확실한 차이가 나는 이유는 8월이후 벼가 여무는 시기에 밤낮의 기온 차이 등, 등숙조건이 다른지역에 비해 월등히 좋기 때문이다. 또한 한탄강이 거대한 배수구 역할을 하여 장마때 벼가 물에 잠기는 경우가 드물고, 내륙 북쪽 깊숙이 위치해 있는 철원에는 태풍의 영향도 미미하여 벼가 쓰러지는 경우도 드물다. 이러한 조건으로 인하여 양질의 쌀을 생산할수 있는 것이다.
철원 오대쌀은 상품의 신뢰성이란 측면에서도 다른쌀과는 비교되지 않을 만큼 확실한 믿음을 준다.
이미 언급한바와 같이 철원오대쌀은 우리나라에서 유통되는 쌀중 유일하게 뚜렷이 굵어, 생산하는 농민이나 도정 판매하는 농협은 물론 소비자도 확실히 구별 할 수 있으므로, 피차 속거나 속일 수 없다. “철원 오대쌀”은 100% 철원산 오대쌀 단일미로만 제품화되어 유통되고 있다는 말이다.
특히 오대벼는 1982년 작물과학원 철원출장소에서 개발되었고, 1992년 9월 29일자로 정부로부터 최초로 품질인증을 받은 이래 2003년까지 누계면적으로 769,866핵타가 재배되어졌고, 2003년에는 전국 벼재배 면적의 4.58%에 재배되어 여덟 번째로 많이 재배되는 품종임이 확인되었다.
이미 언급한바와 같이 우리나라 어느지역에서 생산된 쌀이라도 우리가 먹기에 안전하고 아무런 문제점이 없다는 것이 일반적인 견해이나, 철원에서 생산된 쌀은 청정성, 안전성, 품질, 상품으로서의 신뢰성에 있어서 다른지역에서 생산된 쌀보다 더 좋다고 생각된다.
'기고문 ·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스터(Easter)섬과 지구의 운명 (0) | 2008.06.20 |
---|---|
표준영농기술의 이해와 적용 (0) | 2008.06.20 |
신토불이(身土不二)와 전통한식 (0) | 2008.06.20 |
먹는 문제는 바로 생명 문제이므로 다른 관점에서 풀어야 한다 (0) | 2008.06.20 |
이상세계의 시작과 인류 문명의 대 전환기를 맞이하여 (0) | 2008.06.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