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아지 한 마리를 장에가서 사왔다. 이름을 복순이라 지었다. 암놈이고 이미 있는 숫개가 복실이기 때문이다. 본인은 다음과 같은 생각을 하고 있다.
1. 실내에서는 개를 키우지 않는다. 위생적 문제 때문이다.
2. 개를 목줄에 묶어 기르지 않는다. 좀 애처롭게 느껴져 내가 편하지 않다.
3. 작은 개를 기른다. 큰 개는 위험하고 관리비가 많이 든다.
4. 작은 잡종견을 기른다. 일년에 회충약 2번, 목욕 서너번 시켜주면 끝이다. 기르기 편하다는 얘기다.
5. 털이 짧은 개가 좋다. 길면 털 깍아주기도 돈도 들고 귀찮다.
기존개 복실이가 받아준다.
'개 기르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개 진드기 퇴치 문제 (0) | 2021.09.11 |
---|---|
개 기르기 (0) | 2018.09.11 |
입양온 '아지' 새로운 환경에 거의 적응 (0) | 2017.12.12 |
개 입양, 토이푸들 '아지' / 수의학, 복제와 동물을 활용한 인간장기 생산 (0) | 2017.12.07 |
15번째 강아지 출산, 형제동처, 여아살해 풍습 (0) | 2016.10.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