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정증보판벼생산기술

한국의 녹색혁명 / 식량자급과 농작업의 기계화

유해영 2020. 3. 16. 17:45

한국의 녹색혁명 / 식량자급과 농작업의 기계화

아래 서술 자료는 본인이 저술한「영한벼생산기술」개정판에 실릴 내용이다. 우리나라에 녹색혁명이 있었다. 식량자급으로 사회를 안정시켰고, 농작업 기계화로 타산업에 노동력을 공급해서 산업화를 이루었다. 그런데, 이러한 사실을 잘 모르고 있다. 당사자 분들이 아직 살아 계신데, 당사자들 조차 무덤덤 한 것 같다. 기록에 남기고 널리 알리기 위해 서술하였다. 여력이 되면, '한국의 벼농사'라는 장(chapter)을 별도로 두어 자세히 기록으로 남길 수 있느데, 고려를 해 보겠다. 아무래도 그래야 될 것 같다.

 ...........................................................................................

8.6. Rice Machine Transplanting of Korea

Rice self sufficiency of Korea was achieved thanks to development of Tongil varieties in 1977. Rice machine transplanting was also begun in 1977 and then the technique became common practice of transplanting. The events are called Green Revolution of Korea.

     Rice is cultivated by two methods which are transplanting or direct seeding. Before 1970s, manual transplanting culture was commonly practiced in Korea. The transplanting work is hard and laborous. Therefore, the need for mechanization of transplanting work had emerged.

     For the first time, 200 hectares of paddy field was transplanted by machine in 1977. In 1988, 53.9% of Korea paddy field was machine transplanted. In 1998, only 0.96% of Korea paddy field was transplanted manually.

     The project for mechanized rice transplanting culture had been carried out

from 1970s by the project manager, Dr. Lee Jong Hoon( a professor emeritus of Korea National Open University, currently), the Director of Rice Cultivation Division, National Crop Experiment Station,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The author, Dr. Ryu Hae Yeong had carried out the related experiments in 1980s.

 

8.6. 한국의 벼 기계이앙

한국의 쌀 자급(自給)이 통일 품종 개발에 힘입어서 1977년에 성취(成就)되었다. 벼 기계이앙(機械移秧) 또한 1977년 시작(始作)되었고, 그 후 이앙의 일반적 관행이 되었다. 그러한 일들이한국의 녹색혁명(綠色革命)이라 불린다.

     벼는 이앙(移秧) 혹은 직파(直播)라는 두 방법으로 재배(栽培)된다. 1970년대 이전에는 한국에서 손 이앙 재배가 보통으로 실시되었다. 벼 이앙 작업은 힘들고 노동력(勞動力)이 많이 드는 일이다. 그러므로, 이앙 작업의 기계화(機械化) 필요성이 대두(擡頭) 되었다.

     처음으로, 1977년에 200 헥타르의 논이 기계로 이앙되었다. 1988년에는 한국의 논 53.9%가 기계이앙 되었다. 1998년에는 한국의 논 0.96%만 손으로 이앙 되었다.

     벼 이앙재배의 기계화(機械化)를 위한 과제(課題)1970년대부터 농촌진흥청(農村振興廳) 작물시험장(作物試驗場, , 食糧科學院) 수도재배과(水稻栽培科) 과장(科長) 이종훈(李鍾薰) 박사(韓國放送通信大學校 名譽敎授), 과제 책임자(責任者)에 의해 수행(遂行)되었다. 저자 유해영 박사는 1980년대에 관련 시험을 수행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