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해영영문법1

제91강. 부정사의 개요

유해영 2012. 3. 12. 20:12

제91강. 부정사의 개요

 

☆ 부정사의 의미

1. 정형동사(finite verb)는 주어의 인칭, 수 및 시제에 따라서 어형이 변하는 동사.

2. 비 정형동사( non-finite verb)는 주어의 인칭과 수에 따라 어형이 변하지

   않는다. 준동사라고도 하며, 부정사, 동명사, 분사를 가리킨다.

3." to + 동사의 원형"의 형식을 취하며, to 와 함께 쓰이는 부정사를 to-infinitive,

   to없이 쓰는 부정사를 원형부정사(plain infinitive)라고 한다. 즉, infinitive라는

   말은 주어의 인칭과 수에 따라서 제한을 받지 않는다는 말이다.

4. 부정사는 부사의 수식을 받고 목적어를 취하는 등 동사의 성격을 가지면서도,

     명사, 형용사, 부사의 다양한 기능을 수행.

5. 즉, 부정사는 주어의 수나 인칭에 따라 형태가 정해지지 않는(제한을 받지 않는 : 부정) 다고 하는 의미에서 "부정사"라 칭하게 된 것이다.

 

부정사의 형태

부정사는 시간과 태에 따라, 능동형 4, 수동형 2, 총, 6가지가 있다.

 

1. 능동태 단순형

Dr. Ryu wants to paint his house. 유박사는 그의 집을 페인트 칠 하기를 원한다.

 

2. 능동태 진행형

We expect Dr. Ryu to be painting his house when we get there. 우리는 우리들이 거기에 도착할때 유박사가 그의 집을 페인트 칠하고 있기를 기대한다.

3. 능동태 완료형

They believed Dr. Ryu to have painted his house. 우리는 유박사가 그의 집을

페인트 칠 했다고 믿었다.

 4. 능동태 완료진행형

Dr. Ryu was expected to have been painting the house by the time. 유박사가 그때까지 그 집이 계속 페인트 칠해져 완료되기를 기대되어 졌다.

 

5. 수동태 단순형

The house is to be painted by Dr. Ryu. 그 집은 유박사에  의해 페인트 칠해 지기로 되어있다. be + to 부정사 = 예정, 가능, 의무 등의 의미.

6. 수동태 완료형

Many old temples appear to have been painted with mineral colors 많은 옛 사원들은 광물질 염료로 칠해진 것 처럼 보인다.

 

부정사의 용법

 

1. 명사적 용법

- 주어, 보어, 목적어 역할

2. 형용사적 용법

- 한정적, 서술적 수식

3. 부사적 용법

- 목적, 원인, 결과적 용법

 

☆ 원형부정사

-지각동사, 사역동사, 관용적 용법

 

☆ 기타 부정사

-대부정사, 독립부정사, 부정사의 부정, 시제 등

 

 

여기에 제시된 예문은 한국방송통신대학 영어영문학과 개설 과목 "영문법의 활용" 의 교재, "영문법(이동국, 이성범)" 책을 참조, 본인이 재 구성한 것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