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

우리나라 근대화에 대한 이해 / 강원북부신문 2023.3.16

유해영 2023. 3. 6. 20:54

역사적 사실을 바로 아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많은 사람들이 이 글을 보기를 희망한다. 「노예에서 자유인으로의 신분 상승」이 바로 역사적으로 근대화라고 말할 수 있다. 따라서 근대화(Modernization)/근대성(Modernity)에 대해 이해를 하는 것이 중요하다. 근대화가 됨으로 개인이 자유와 평등을 가지게 되었다는 말이다.

 

우리나라 근대화에 대한 이해

 

세계 역사를 살펴보면, 유럽 역사를 기준으로 역사 발전을 5단계로 구분 설명을 한다. 원시, 고대, 중세, 근대, 현대사회가 그것이다. 우리나라는 중세사회가 없었음으로 원시, 고대, 근대, 및 현대사회로 나눌 수 있으리라 본다. 그러나 우리나라 고려시대를 중세사회로, 조선시대를 근세사회로 분류하기도 한다.

    본인의 관심은 우리나라 근대사회의 시작과 발전에 관한 것이다. 그 과정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역사적 사실을 아는 것이 중요하다. 그래야 바른 방향으로 나아 갈 수 있기 때문이다. 세계 역사의 발전 단계, 일본의 근대화 성공, 19세기 후반부터 20세기 전반기의 조선 사회 그리고 우리나라의 근대 산업화 과정을 알아보자.

1. 원시사회

원시사회는 석기시대를 말한다. 생산과 분배를 공동으로 하는 공산사회였다고 한다. 우리나라의 단군조선이 세워지기 이전의 사회가 이에 해당한다고 본다.

2. 고대사회

고대사회는 신석기 시대가 끝난 후 청동기시대부터 서로마제국이 게르만족에 의해 멸망한 476년 까지라고 한다. 이 사회에서는 노예제도와 같은 신분제도가 있었다고 한다. 우리나라는 단군조선부터 이씨조선까지가 고대사회로 생각할 수 있으리라 본다.

3. 중세사회

중세사회는 서로마제국이 멸망한 5세기부터 14세기 르네상스까지가 이 시대에 해당한다고 한다. 이 시대의 특징은 봉건제와 절대적 종교의 권위와 인간성 위협이다. 우리나라는 봉건제나 종교의 절대적 권위가 있던 시대는 없었던 것으로 본다.

4. 근대사회

근대사회의 시작은 14세기 르네상스가 시작되면서부터 2차 세계대전(1939-45)까지의 시대를 말한다. 사회 문화적으로 종교적 다원주의 등장으로 중세의 신 중심 세계관에서 인간 중심 세계관으로 인간성이 회복되었다. 정치적으로는 민주주의, 경제적으로는 자본주의가 등장했다. 또한 사적 소유의 정당화가 주장되었다. 시민혁명, 종교개혁, 신앙의 자유, 자연과학 발전, 산업혁명 등이 이 시대의 특징이다.

5. 현대사회

세계 2차 대전 이후를 현대사회로 본다. 제1·2차 세계 대전이 끝난 후 평화의 중요성이 대두되어 국제연합이 창설되었다. 미국을 중심으로 한 자유진영과 소련을 중심으로 한 공산진영이 대립하였으나, 소련이 해체되고 공산주의는 사실상 거의 사라졌다.

6. 일본의 근대화

일본은 메이지 천황 때 왕정복고를 이룩하고 근대국가로 나아가기 위한 변혁을 성취했는데 이를 메이지유신(明治維新)이라고 한다.

    일본은 미국과 화친조약(1854), 구미와 수호통상조약(1858)을 체결한 후 막부 쇼군이 천황에게 권력을 반납(1867)하고 천황 중심 지배 체제를 확립(1868)하였다. 그 후 체제를 혁신하여, 삼권분립, 봉건제 폐지, 소·중·대학교 등 교육체계 확립, 징병제, 구미 근대국가 모델로 관 주도 자본주의를 육성하였고 구미에 사절단 파견으로 제도와 문물을 받아들여 근대화에 성공하였다.

    그 결과 경제적으로는 자본주의 성립, 정치적으로는 입헌 정치 개시, 개인의 자유와 평등이라는 사회 문화적 근대화가 이루어 졌다. 그러한 발전으로 청일전쟁(1894)과 러일전쟁(1904)에서 승리하고 조선을 합병(1910)하였다.

7. 우리나라의 근대화

우리나라의 근대사회 출발점을 영·정조 시대와 1945년 해방 이후로 보는 견해가 있고 한편으로는 흥선 대원군 섭정(1863-73) 기간을 전통사회에서 근대사회로 넘어가는 과도기로 보는 견해도 있다. 근대사상의 핵심인 민주주의, 자본주의, 가치의 다원성이라는 관점에서 볼 때, 1945년 해방 이후가 우리나라 본격적인 근대사회로 보인다.

    조선 후기인 19세기 후반에서 20세기 초의 우리나라는 성리학을 기반으로 하는 사회 질서가 무너지고 국력이 크게 쇠퇴하여 국가로서의 존립 기반이 무너지고 있었다. 이 시기에 근대화의 성공으로 강력한 국력을 앞세운 일본을 비롯한 구미 열강의 침략을 당하게 된다. 미국이 일본을 위협하여 강제로 조약을 맺은 것처럼, 일본도 군함을 앞세워 조선을 위협 강화도 조약을 체결(1876)하고, 결국 일본에 의해 합병을 당한다.

    일본은 조선을 합병한 후, 식민 지배를 확고히 하고 대륙 침략의 발판으로 조선의 체제를 혁신한다. 불과 삼사십여 년 전에 일본이 경험하였던 근대화 작업을 조선에서 착수하였던 것이다. 도로와 철도를 개설하고 모든 행정 체제와 교육 체제를 개편한다. 현재 우리나라 국토의 지적도 대부분이 일본 사람들이 측량하여 만든 것이다. 본인이 살고 있는 지역의 지적도도 아직도 일본 사람들이 만든 지적도를 사용하고 있다. 최근에 와서 측량 작업을 다시 하고 있는 실정이다. 도로와 철도를 개설하는 데도 조선의 세금으로는 충당이 어려워 일본 정부의 막대한 자금이 투입되었다고 한다. 아이러니(irony) 하게도 일본이 우리나라 근대화의 기초 작업을 해 주었다는 말이다.

8. 근대 산업화 성공과 선진 한국 진입

1945년 일제가 패망하고, 이승만 대통령을 중심으로 자유민주주의 체제로 국가를 수립하여 근대화 사업이 본격 시작되었다. 1960년대부터 박정희 대통령의 강력한 지도력으로 본격적으로 근대 산업화에 성공하여 세계 유례가 없는 발전을 이룩하였다.

    아이러니 하게도 근대 산업화의 주역이 거의 모두 일본이 설립한 교육 기관이나 군관학교에서 일본사람에 의해서 근대식 교육을 받은 사람들이다. 바로 박정희를 비롯하여, 정일권, 박태준, 최규하, 백선엽, 백인엽, 김종필 등등이 모두 그러한 인물들이다. 뿐만이 아니라, 1960년대 이후 제철 산업, 전자 산업, 농업 기계화 등 거의 모든 분야의 산업 발전이 일본의 적극적인 협조로 성공적으로 발전하였던 것이다.

    바야흐로 우리나라가 선진국이 되었다. 전자 분야, 철강 분야, 자동차 산업, 방위 산업 등등이 세계를 주도하고 있다. 국제 질서는 냉혹하여 다른 나라와의 연대 없이 홀로 생존하기 어렵다. 이제 과거에 파묻혀 머뭇거리지 말고 자유 민주주의와 자유 시장경제 가치를 공유한 나라와는 협력을 강화하여 더욱 주도적으로 세계의 평화 발전에 공헌해야 할 것이다.

 

    일본이 식민지 시대에 조선의 사회 기반시설, 행정체계, 교육체계 등 근대화 작업을 추진한 것은 이미 말한 바와 같이 식민 지배를 확고히 하고 대륙 침략을 쉽게 하기 위해서였다. 그런데 1960년대 이후 우리나라의 경제 발전 단계에 거의 모든 산업 분야에서 일본의 전폭적인 지원과 협조가 있었다. 왜 그랬을까? 본인 생각에는 우리나라를 경제적으로 지배하기 위해서 그랬던 것으로 판단된다. 아마도 우리나라의 역량을 과소평가했던 것으로 보인다.

    어떤 나라도 모두 자국의 이익을 위해서 정책을 실행하는 것이다. 우리는 일본을 감정적으로만 대할 것이 아니고, 냉철하게 사안 별로 우리의 국익을 위해서 대립과 경쟁 혹은 협력하는 것이 좋으리라 본다. 큰 시각으로는 일본의 국운은 쇠퇴하고 있고 우리나라의 국운은 상승하고 있다는 것이 거의 모든 미래 학자들의 견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