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해영영문법2

제16강. 보통명사 / 명사의 종류

유해영 2022. 3. 2. 09:44

16. 보통명사 / 명사의 종류

명사는 형태상으로는 2가지로, 내용상으로는 5가지로 분류된다.

 

①원어민들의 참고서의 설명을 살펴보자.

A noun is a word that names a person, place, thing, idea, action, or quality.

There are two kinds of nouns: proper and common. Proper nouns name particular persons, places, or things. Common nouns may be further divided into three groups: abstract, concrete, and collective.

명사는 사람, 장소, 물건, 생각, 행동, 성질을 부르는 말이다. 명사에는 고유명사와 보통명사 두 종류가있는데, 고유명사는 특별한 사람, 장소, 물건을 말한다. 보통명사는 추상명사, 구상(具象)명사, 집합명사 등, 세 가지로 더 분류된다

② 영문하자 Sweet의 명사 분류: 구상명사와 추상명사로 두가지로 분류

- 구상명사: 보통명사와 고유명사로 1차 분류. 보통명사를 집합명사와 물질명사로 재분류

- 추상명사

학자에 따라 다소 달리 분류된다.

 

명사의 분류

1. 가산 명사(countable Noun) :

-  보통명사(Common Noun), 집합명사(Collective Noun)

2. 불가산 명사( Uncountable Noun) :

- 고유명사(Proper Noun), 물질명사(Material Noun), 추상명사(Abstract Noun)

 

명사의 역할

주어, 보어, 목적어, 전치사의 목적어

- Tom is my friend. 주어

- This is the book. 보어

- I love Judy. 목적어

- There is a book on the table. 전치사의 목적어

 

보통명사 : 같은 종류의 사물이나 사람에게 두루 쓰이는 셀 수 있는 명사

 

1. egg, book, table, city, dog, bank 등등

- There is an  egg  on the  table . 테이블위에 달걀 하나가 있다.

- There are three  eggs  on the  table . 테이블위에 세 개의 달걀이 있다.

 

2. 단수명사 앞에는 a, an, the 의 관사를  반드시 붙이거나, that, his, many  등 관사를  대치할 수 있는 말을 붙여야 한다. 추후 별도강의

 

3. 명사의 수  : 단수, 복수, 추후 별도강의

4. 명사의 격  : 주격, 소유격, 목적격, 추후 별도강의

5. 명사의 성  : 남성, 여성, 통성, 중성, 추후 별도강의

 

6. 대표단수, 대표복수: 총칭지시

- A dog is a useful animal. 개는 유용한 동물이다. 총칭단수

- The dog is a useful animal. 개는 유용한 동물이다. 총칭정관사

- Dogs are useful animals. 개는 유용한 동물이다.

- 위 세 문장 모두, 개 전체를 가리킨다. 위 세 문장에서 부정관사나 복수형은 수량관념이 약하다.

6-1. 총칭지시 (generic reference): 개체 전체 표현

 - 가산명사의 경우: 정관사, 부정관사, 복수형

 - 불가산명사의 경우: 관사 없는 명사의 원형, Fruit is good for your health.

 

7. 보통명사의 추상명사화

 - " the + 단수 보통명사" 가 추상적 의미를 나타내는 경우.

 - The pen is mightier than the sword. 문은 무 보다 강하다.

 

다음 문장속에서 명사를 구분해 보자.

Many  centuries  ago, the  Greek  philosopher  Socrates  used to walk through the  street , teaching his  students . He would say to them, " You must understand  yourself!  You must understand  yourself. " Then one  day  a  student  said, " Sir, you always say we must understand ourselves. But do you understand your self? " 우선 해석을 해보자많은 세기전에 그리스 철학자 소크라테스가 그의 제자들을 가르치면서, 그 거리를 따라 걷곤 했다. 너는 네 자신을 알아야 한다. 너는 네 자신을 알아야 한다. 라고 그는 그의 제자들에게 말하곤 했었다. 그 다음 어떤 날 한 제자가,  선생님, 선생님은 우리가 우리 자신을 알아야 한다고 항상 말씀하십니다. 그러나 선생님은 선생님 자신을 아십니까밑줄친 순서대로 명사를 말해보자. 보통명사, 고유명사, 보통명사, 고유명사, 보통명사, 보통명사, 보통명사, 보통명사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