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해영영문법3
제166강. 원형부정사를 쓰는 경우 / 질문에 대한 답변
유해영
2025. 2. 25. 16:13
본 영상은 유튜브 유해영tv에서도 제공되고 있다.
https://youtu.be/KFMnPGO5GAk?si=UZTpLbbyUV8emqK8
제166강. 원형부정사를 쓰는 경우 / 질문에 대한 답변
제147강에 아래와 같은 질문이 있다. 당시 기술지도 차 해외에서 있어 다소 바빴기 때문에 답을 주지 못했다. 함께 연구해 보자. 우선 질문자에게 격려를 보낸다. 막상 질문하기가 쉽지 않았을 터인데, 용기를 내서 질문을 한것에 대해 고맙게 생각한다. 또한 질문 내용이 좋다. 본인도 공부할 때에, 참 많이 질문을 했었다. 책을 보다 의문이 생기면, 출판사에 연락해서 저자의 연락처를 알아내, 메일 등을 통해 질문을 하곤 했었다.
................................................................................
Oscuro
2019.08.02 23:04
선생님 좋은 지식을 나눠 주셔서 감사합니다.
help의 용법 중 한 가지 의문점이 있어 선생님께 질문드리고 싶습니다.
help 뒤에 동사 원형이 오는 경우에 대한 의문입니다.
She helped organize the party.
This will help maintain the park.
위와 같은 문장처럼 말입니다. 이렇게 help 뒤에 동사원형이 목적어인 양 등장하는 문형을 설명하는 데에, 사람들은 두 가지 견해를 중심으로 진영이 나뉘는 것 같습니다.
하나는, help가 to 부정사를 목적어로 취하는 형태 'help+ to 부정사'에서 to가 생략된 형태일 뿐이라고 주장하는 측이고, 다른 하나는, 위와 같은 논리대로라면 to 부정사를 목적어로 취하는 많은 동사들 중에 왜 help만이 to를 생략하고 동사원형을 목적어로 취할 수 있는지 잘 납득하지 못하는 측으로서, 이들은 help가 사역동사로 활용될 때 목적보어 자리에 동사원형을 사용하기도 한다는 점에 착안하여, 'help + 목적어 + 목적보어'의 형태에서 목적어를 굳이 언급하지 않아도 될 정도로 일반적이거나 당연히 알 수 있는 경우가 흔했기에 목적어를 쏙 빠뜨린 'help + 목적보어'의 형태가 자주 쓰였고, 이것이 굳어져 'help + 동사원형(목적보어 출신...)'의 문형이 가능해졌다라고 주장하는 식입니다.
선생님의 의견이 궁금합니다!
................................................................................
답변: 영미인들이 to를 붙이기도 하고 않 붙이기도 하네요. 왜 그런지는 본인도 잘 모르겠어요. 다음 설명을 참고하세요.
1. 우선, to의 성격을 알아보자.
to 다음에 명사가 쓰이면, to는 전치사로, to 다음에 동사 가 쓰이면, to는 부정사의 표지로 분류된다. 부정사의 to는 실현되지 않은 동작을 바라보는 관계에 있다. 즉, 이때 to는 미래적 성격이 있다는 말이다. I want to see her. 이 문장에서, see는 want보다 시간적으로 나중이라는 얘기다. 따라서 동시 상황을 표현할 때에는 그 의미가 충돌되므로, to가 생략된 원형 부정사를 쓰는 것이다.
2. 따라서 지각동사나, 사역동사의 목적보어에는 원형부정사를 쓰는 것이다. 동시적 상항을 표현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3. 그런데 help는 사역동사로 분류되지는 않는다. 준사역동사로 의미가 강할 때 사역동사처럼, to가 생략된다. 제시된 문장 She helped organize the party.은 두 가지로 해석될 수 있다. 부정사는 목적이나 결과를 표현할 수 있으므로, 1) 그녀는 그 정당(혹은 모임)을 조직하도록 도왔다. 이 경우는 목적으로 표현한 경우로, 특정되지 않은 목적어를 생략했다고 보여 진다. 또 달리 가능한 해석은, 2) 그녀는 (어떤 사람들을) 도와서 그 정당을 조직했다. 이 경우는 결과적으로 해석한 것이다.
4. 또 다른 문장, This will help maintain the park. 이것이 그 공원을 유지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이 경우 to가 없이 쓰여지기도 한다.
5. help 다음에 원형부정사를 쓰는 경우
*help가 자동사로 쓰이는 경우
- Someone helps do / to do something. 누군가가 무엇인가를 하도록 돕습니다.
- She used to help cook the meals for the men. 그녀는 남자들을 위해 식사를 요리하는 것을 도왔었습니다.
- She helped to carry the wounded off the battlefield. 그녀는 전장에서 부상자들을 옮기는 데 도움을 주었습니다.
- Something helps do / to do something. 무언가가 무언가를 하는 데 도움이 된다.
- The money helped keep me off the streets for a while. 그 돈은 내가 한동안 거리에서 벗어나는 데 도움이 되었습니다.
- This helped to improve the comprtitiveness of American exports. 이는 미국 수출품의 경쟁력을 향상하는 데 도움이 되었습니다.
*help가 타동사로 쓰이는 경우
- I helped him to move the desk. = I helped him move the desk. 나는 그가 책상을 옮기는 것을 도왔다.
- We must try to help students to have confidence in their ability. 우리는 학생들이 자신의 능력에 자신감을 갖도록 도와야 합니다.
- Somsting went wrong with his machine so I helped him fix it. 그의 기계에 문제가 생겨서 내가 그를 도와서 고치게 했어요.
6. 원형부정사로 쓰여지는 예문
- Dr. Ryu helped me find mistakes in the text. 유 박사는 나를 도와 그 글에서 잘못된 것을 찾아 주었다. 결과적 해석, 목적적으로 해석도 가능하다고 봄.
- This won't help (to) solve the problem. 이것은 그 문제를 해결하는데, 도움이 안 될 것이다.
- The men all helped (others) (to) lay the tables for the dinner tonight. 그 남자들 모두는 오늘 밤 저녁식사를 위해서 식탁을 놓는데 거들었다.
- Dr. Kim lived to be 120 years old. 이런 경우는 반드시 결과적으로 해석을 해야 한다. 논리상 목적으로 해석될 수 없다는 말. 김 박사는 120세까지 살았다.
대충 이해가 될 것입니다. 더 살펴볼게요. 영미인들이 to를 붙이기도 하고 않 붙이기도 하네요. 왜 그런지는 본인도 잘 모르겠어요. 꾸준히 공부하고 질문을 하기 바랍니다. 공부할 때는 이것저것 따지지 말고 질문하는 것이 지름길 입니다. 영어뿐만이 아니라 무엇이든 본질적 접근을 해야 됩니다. 그래야 배웁니다. 많은 사람들이 영어를 10여년 이상 공부하지만, 실제로 정확히 아는 사람이 많을까요? 본질what과 원리why를 추구해 보기 바랍니다. 그래야 재미가 있고, 공부가 되지요. 재미를 느끼지 못하면 공부가 안되는 겁니다. 부디 본질적 원리를 확실하게 공부하는 것이 좋습니다. 종교 문제든, 건강 문제든, 부부 문제든, 자식 문제든, 무슨 문제든... 마찬가지 아닐까요? 그렇게 살면 하나하나 쌓아지는 것입니다. 하나하나 쌓아지면, 결국 어떻게 될까요? 영어 공부가 특히 그렇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