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한 삶
환경 오염 문제, 지구를 지키자 / 천주교 철원성당
유해영
2021. 9. 26. 12:07
환경 오염 문제는 땅, 물, 공기와 관련된다. 토양오염, 수질오염, 해양오염, 먼지 등 공기오염, 대기 상층부의 온실 가스문제 등 여러가지로 단순하지 않다. 빠른 시일내에 일반인이 이해하도록 글을 한번 써 보겠다. 왜 우리가 환경오염을 걱정해야 하는가? 그러기 위해서는 구체척으로 어떻게 해야 하는가? 2008년 6월 9일 내외일보에 '환경을 지켜야 하는 이유'라는 제목으로, 당월 지역신문에 환경 관련해서 '이스터 섬과 지구의 운명'의 제목으로 게재를 한바 있다. 아래에 제시해 놨다.
철원성당 신자들이 환경 보호를 위해서 소위 피켓팅picketing( 팻말을 들고 시위하는 것 )을 하고 있다. 이런 행사가 사소하게 보일지 모르나 적지 않은 영향을 주는 것이다.
철원성당, 구내가 아름답다. 아직은 그리스도교(천주교와 개신교)를 대체할만한 사상이 없는것 같다. 전통 신앙인 무속을 믿는다는 것은 수많은 미신에 빠지는 것인데, 불가한 일이다. 머리나 길게 기르고 예법이나 따지는 유교는 어떤가? 적절치 않다. 불교가 그런대로 배울점이 있으나, 현실과 너무 동떨어져 있다. 현실에서 적응을 못해서 떠난 분들에게 배울 것이 매우 제한적이다. 성철스님의 '음식은 생명을 유지할 만큼만'이나, 법정스님의 '무소유' 와 같은 말은 자신들과 같은 승녀들에게나 맞는 말이다. 그런 말은 일견 고상하게 들릴지 모르나, 말도 안되는 말이다. 물론 조금의 참고할 점이 없는 것은 아니다. 법륜스님의 '정토회'가 그런대로 좋아보이고, 원불교가 대체로 배울점이 많은 것 같다. 그리스도교의 주요교리인, '유일신 하느님의 천지창조, '삼위일체', '예수의 사람으로 오심' 등의 교리는 다 논리적 설명이 가능하고 불교나 증산도에서 주장하는 것과 대동소이한 교리인 것이다. 동정녀 탄생, 부활 등의 교리는 믿음의 문제라고 생각하면 될 것이다. 그런 정도는 어느 종교나 다 있는 것이다. 천주교는 엄격한 중앙집권 체제를 가지고 있어 당면한 여러 문제들을 해결하는데, 도움이 되리라 본다. 물론 이러한 중앙집권 체제가 과거 말할 수 없는 과오를 범했던 것도 사실이다. 그러나 이미 과거 일이고 지금은 정치와 종교가 완전히 분리되어 있어 그런 일이 불가능하다. 본인은 종교를 선택하는 분들에게 천주교나 원불교 혹은 법륜스님의 정토회를 권하고 싶다.
현세의 모든 것으로 부터의 현상은 모두 진리의 반응(표현)이고, 그 원인을 이해하고 해결책을 따르는 것이 좋다. 속이 쓰리다면, 무릅이 아프다면, 바닷가가 침식이 심하다면, 산불이 잦다면, 살인사건이 빈번하게 일어난다면, 비가 많이 온다면, 눈이 많이 온다면, 모두 필연적 이유가 있는 것이다. 그 원인을 이해하고 그 해결책을 따라 행동하는 것이 좋다. 속이 쓰리다면, 술을 적게 먹고, 과식하지 말고, 천천히 먹고, 잘 씹어먹으면 된다. 그러면 대부분 괜찮아 진다. 모든 것이 모두 다 원인이 있어 그런 현상이 나오니, 그 원인을 제거하란 말이다. 달리 무슨 방법이 있는가? 있으면 말해 보라. 물이 끊임 없이 바다로 향하듯이 끊임없이 진리를 좇으면 되는 것이다. 그게 행복이고 그게 천국이고 그게 모든 것이다.
이스터(Easter)섬과 지구의 운명 / 신아일보, 강원북부신문, 철원신문 게재 2008년